땀이란 우리 몸을 싸고 있는 피부가 체온 조절을 위해 내보내는 수분을 말한다. 한방에서는 땀구멍의 개폐 작용을 기가 담당하는 것으로 본다.

즉 기가 왕성하면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땀구멍의 개폐 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지만 기가 약해질수록 땀구멍의 개폐를 조절하는 힘이 약해져 땀이 지나치게 많이 나거나 아예 나지 않는다.

기가 쇠약해져 땀구멍이 항상 열려 있는 경우, 피부가 끈적끈적하면서 지나가는 감기는 모두 거처갈 만큼 저항력이 떨어지고 피로와 무력감에 시달린다.

반면 땀구멍이 열리지 않는 경우는 피부가 소름이 돋은 것처럼 거칠어지면서 팔다리가 시리고 저리며, 발뒤꿈치가 갈라지는 등 순환 장애로 인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런 증상은 중년 여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체온조절을 위한 정상적인 땀에 비해 주위의 온도 변화와 관계없이 나오는 것을 "식은 땀"이라고 한다.

낮에 주로 나는 땀을 ‘자한’이라고 하고 수면 중에만 땀이 나고 잠이 깨면 그치는 것을 ‘도한’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자한’이 양에 속한 기의 강약에 따라 그 증상이 달라지는 반면, ‘도한’은 ‘음허’라고 해서 진액이 말라서 나타나는 병증으로 본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나 큰 병을 앓고 나서 몸이 쇠약해졌을 때, 원래 허약한 사람의 경우, 끈적끈적한 땀이 주로 이마와 목 뒤·가슴 등으로 배어 나오기도 한다.

결핵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 갱년기 장애의 경우도 식은 땀이 많이 난다.

한의학에서 피부는 폐에 속한다. 즉 폐의 기가 약해지면 땀구멍을 조절하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식은땀이 많이 날 수 있다.

따라서 폐의 기를 보충시켜 땀구멍의 원활한 개폐를 도와주는 것이 ‘한증’ 치료의 기본이다.

‘도한’의 경우는 입이 마르고 소변이 잦아지면서 시원스럽지 못하며 심한 경우 양기가 떨어지는 등 신장기능이 약해서 오는 증상을 수반하기도 한다.
따라서 치료 또한 신장의 기능을 보강하면서 진액을 보충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폐와 신장의 기능을 도와주는 침, 약물 치료와 함께 검은 깨, 검은 약콩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황학수·한방의·제민일보 한방자문위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