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여객 파업사태가 26일로 사흘째를 맞고 있으나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한일여객 노사양측의 주장이 워낙 팽팽한데다 이번 사안이 가져다주는 민감함과 그 폭발력 때문에 제주시와 노동사무소,그리고 경찰 모두 신중에 신중을 기하느라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다.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하는 형국이다.

 가장 큰 난제는 노사간 감정의 골이 너무 깊어 돌아오지 못할 다리를 지났다는 분석이다.

 노조는 체불임금 15억원 해결을 요구하는 반면,사측은 “돈이 없다.출자로 전환하자”며 맞서있다.여기에다 전 김방부 대표이사 후임인 현택준 전무이사겸 사장권한대행에 대해 노조는 “조합을 파괴하려는 장본인”이라며 극도로 기피,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다 노사 양측 모두 법을 현저하게 위반하고 있으나 경찰과 노동사무소에서는 공권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노동사무소는 임금체불과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김 전 대표이사를 검찰에 고발했으나 이렇다할 결말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

 노조 역시 조정기간을 거치지 않은 불법파업과 업무집행 방해로 사측에 의해 경찰에 고발된 상태며,사측은 노조가 버스운행을 무력으로 막고 있다며 공권력 투입을 요청하고 있으나 경찰은 “여론이 성숙되지 않았다”며 이 역시 미루고 있다.

 파업원인이 사측의 임금체불에 있는 상태에서 노조 측의 불법만을 문제삼을 경우 형평성 논란과 함께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는 게 경찰 측의 시각이다.

 이 상황에서 제주시의 역할을 요구하는 여론이 커지고 있으나 시가 사용할 수 있는 카드도 극히 제한적이다.

 사회일각에서 요구하는 경영비지원 등은 아무리 공익성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사기업인 문제로 검토할 수 없는 입장이며,불법운행중단에 대한 운행정지와 사업취소 역시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김태환 제주시장이 26일 제주경찰서장·노동사무소장과 모임을 가졌으나 이렇다할 해결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공조체제를 강화해 나간다”고만 합의한 것도 이같은 딱한 사정을 반영한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끌수만도 없는 상황이다.

 시를 비롯한 관계당국에서는 이번 주말을 최대 고비로 보고있다.사측은 물론 노조에 대해서도 불법행위가 1주일이상 지속돼서는 안 된다는 게 이들 기관의 입장이다.시민의 여론이 어떻게 흐를지도 이번 사태를 해결하는 주요한 열쇠다.

 결국 사측에 대한 사법당국의 결심이나 노조에 대한 공권력 행사 모두 이번 주말에 가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이재홍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