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해문화공간에서 열린 「제주4.3위원회의 과제와 활동방향」토론회.

 제주4·3 제52주기 추모식 및 ‘제주4·3 위원회의 과제와 활동방향’토론회가 제주4·3범국민위(상임공동대표 김중배 강만길 고재식 김찬국)와 재경 제주4·3유족회(회장 강종호)의 공동주최로 1일 서울 경동교회 내 여해문화공간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독립운동가 신상윤씨, 박정기 유가협의장, 임길한 민가협의장, 신창균목사, 소설가 현기영씨, 양문홍 동국대교수, 황상익 서울대교수, 재경 4·3유족등 2백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의 제1부‘제주4·3영화제’에서는 ‘레트헌트2’‘무명천할머니’‘유언’‘이제는 말할 수 있다’등 4·3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4편이 상영돼 4·3의 깊고 넓은 비극성을 다시한번 느끼게 했다.

 오후 2시부터 열린 제2부 추모식에서 고재식 한신대총장은 추모사를 통해 “4·3특별법의 제정에 따른 앞으로의 진상조사 과정에서 4·3이 다시 왜곡되고 그 의미가 폄하되지 않도록 항상 깨어있는 정신으로 감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제주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의 과제 및 활동방향에 관한 토론회에서 발제에 나선 강창일 4·3연구소장(배제대교수)은 “4·3위원회의 구성과 활동은 ‘개혁입법’이며 ‘명예회복을 내포한 진상규명’이라는 4·3특별법의 입법취지에 부합되는 방향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4·3위원회와 진상조사보고서 작성기획단은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에 앞장섰던 민간위원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강씨는 2년안에 방대한 진상조사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과 예산이 투입돼야 하고 민간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토론에 나선 정근식 전남대교수는 “4·3의 전국화·세계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등지의 국제위원 위촉등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김동춘 성공회대교수는 “4·3을 정부의 민원처리 차원이 아닌 범국민 운동차원서 끌고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이영일 여수지역사회연구소장은 “위령사업위주로 갈 경우 4·3의 본질이 희석돼 박제화될 수 있다”고 경계했고 박래군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은 “4·3의 국제화 전략으로 유엔 활용·미국법원 제소 문제등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조훈 전 제민일보 편집국장은 “각종 자료나 증언에 대한 검증이 중요하다”면서 “4·3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기 위해 민간인 전문위원 참여의 폭을 넓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서울=진행남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