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연구소 제주시·북군지역 401곳 조사

   
 
   
 
제주전역에 걸쳐 흩어져 있는 4·3유적지 대부분이 훼손되거나 파괴되고 있어 보존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4·3 당시 군·경에 의해 불에 타 없어져 버린 마을과 ‘사람사냥’을 피해 숨어 지내던 은신처, 피 냄새가 채 가시지 않은 학살터 등 4·3유적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대책이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제주도와 제주4·3연구소는 도내에 산재해 있는 4·3유적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일차적으로 제주시와 북제주군에 흩어져 있는 4·3유적지 401곳을 확인, 이에 대한 효과적인 보전방안을 담은 조사보고서 「제주4·3유적Ⅰ」을 발간했다.

조사된 유적지는 희생터가 101곳으로 가장 많았고, 잃어버린 마을 82곳과 성터 44곳이 발견됐다. 이 밖에 △은신처 28곳 △은신처 및 희생터 9곳 △수용소 7곳 △토벌대 주둔지 50곳 △희생자 집단묘지 2곳 △비석 25기 △역사현장 45곳 △기타 8곳 등 401곳이다.

특히 군경토벌대의 초토화작전으로 마을 자체를 잃어버린 제주시 화북1동 곤홀동과 △조천읍 선흘리 낙선동성 △애월읍 수산리 예원동성 △애월읍 어음리 머흘왓성 △한림읍 명월상동(고림동)성 △한경면 저지리 수동성을 ‘중요 유적’으로 분류했다.

또 마을주민들이 토벌대를 피해 숨어 지내던 은신처인 구좌읍 세화리 다랑쉬굴과 조천읍 선흘리 목시물굴, 희생터인 조천읍 북촌리 너븐숭이 등 9곳에 대해서는 심층조사와 함께 긴급한 보전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건의했다.

4·3연구소의 이번 유적지 전수조사는 지난 2002년 12월부터 1년 2개월에 걸쳐 이뤄졌다.

4·3연구소는 “4·3유적지는 우리의 아픈 역사를 후손들에게 생생해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자 역사의 교육장인데도 반세기가 넘도록 유적지나 유물은 올바로 인식 받지 못한 채 훼손되거나 파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번 4.3유적지 조사사업은 증언을 해 줄 경험자들이 고령이어서 내일을 기약할 수 없기 때문에 시급히 추진돼야 할 사업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에 발간된 「제주4·3유적Ⅰ」은 975쪽 분량으로 마을별로 4·3유적의 실태와 보존방안을 정리했고, 유적통계와 현황 등을 부록으로 담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