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는 제주4·3사건에 관해 진상보고서를 채택, 이와 관련된 명칭과 개념을 명확하게 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내용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거나, 이를 제대로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걱정스럽다. 아직까지도 곳곳에선 제주4·3사건을‘폭동’개념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거나, 잘못 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나 관련단체 등은 이와 관련된 총체적인 점검과 개선작업이 절실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생겨날 수 있는 역사적 사실 왜곡이나 혼란 등은 엄청난 부작용과 오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잘못된 사례는 곳곳에서 적잖게 드러나고 있어 문제는 심각하다. 가깝게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최근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에 발송한 공문에 제주4·3사건을‘폭동과 폭도’등으로 표현해 물의를 빚자 이를 삭제해 다시 보냈다. 서울 용산구에 있는 국방부 산하 전쟁기념관‘6·25전쟁실’에는 제주4·3사건을‘남한 총선거를 방해하기 위해 남로당이 사주한 폭동’이라고 규정하는 등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이미 제주4·3특별법에 정의된‘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행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과는 확연히 다르다. 정부의 4·3진상보고서에‘폭동’이란 표현을 없앤 대신‘무장봉기’로 바꾼 것과도 같은 맥락이다.

이처럼 정부부처 등에서 여태껏 제주4·3에 대해‘폭동·폭도’란 표현을 쓰고 있다는 건 하루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제주4·3사건에 대한 명칭이나 개념은 정부진상보고서에서 채택한대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주4·3과 관련해 냉전적 시각을 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제주4·3관련 잘못된 표현이 남아 있는 시설이나 전시물 등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을 벌여 체계적으로 잡아가도록 하는 게 당연하다. 제주4·3사건에 관한 분명한 명칭이나 개념은 하나로 통일해 써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