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들은 위기에 처한 농촌경제 해법에 상당한 시각차를 노출했다.

 농촌경제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데 같은 목소리를 냈지만 원인 및 해결에는 이견을 보였다.


 양정규후보는 농촌위기는 감귤가격하락,농·축·수산물의 가격불안정과 관광산업위축 및 IMF에 의한 수요·소비위축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양후보는“농산물가격안정대책수립과 최저가격보장제 도입,유통 등의 개선이 시급하다”며“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현재 한나라당에서 국회에 제출한 농어가부채경감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부채경감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장정언후보는“감귤은 제주만의 산업이 아니다”라고 전제,안정영농을 위해서는 양곡관리법처럼 국가보상 등을 통해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후보는“감귤산업을 위해서는 감귤산업진흥특별법 제정과 밭작물에 대해서는 농업재해보상법 제정을 통해 정부가 안정수입을 보장하고,제주특산물의 차별화를 위해 청정이미지를 브랜드화해 소득증대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호민후보는 화학비료사용량을 줄여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환경친화적인 유기농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후보는 1차산업과 3차산업을 연계,호텔등 대규모보다는 민박 등을 통해 소득증대와 고용창출을 통해 농촌위기를 해결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강봉찬후보는“지난 98년 감귤조수입이 9600억원에서 지난해 3000억원으로 줄었어 제주는 이제야 IMF가 도래했다”며 감귤산업진흥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특히 김후보가 양후보가 제시한 농어가부채경감의 재원조달방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자 양후보는“정부가 금융구조조정때 64조원을 투자한 만큼 10분의 1만 투자하면 된다”고 반론을 제기했다.<강한성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