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산 개발

 첨예한 논란을 빚고있는 송악산 개발 문제는 이날 토론회에서 최대 화두로 등장했다.

 두 후보는 그러나 개발이냐 보전이냐는 첨예한 대목에선 핵심을 비켜갔다.

 고진부후보는 “한번 파괴된 자연은 복구가 어려운 만큼 이중분화구인송악산은 보호를 잘해야 한다”면서도 “공사를 할 때는 자연파괴가 안되도록 해야 한다”고 신중론을 폈다.

 변정일후보 역시 “송악산은 창조적,친환경적으로 개발돼야 한다”며 “이중분화구라는 본질적 특성을 살리고 경관도 보호할수 있도록 철저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러나 ‘논란 해법’과 관련해선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변후보는 “법적으로 필요한 허가를 다 받고 외자도입 준비까지 마친 상황에서 개발을 못하게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때’가 지났음을 강조한 뒤 “이제와서 반대하면 대외신인도에도 문제가 있는 만큼 송악산의 본질적 특성을 살릴 방안을 찾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고후보는 “지역주민들은 생활적 이해 때문에 개발을 원하고 있는 반면 환경단체는 자연유산 보전 차원에서 개발을 반대하고 있다”며 “팽팽한 의견차이를 보이는 양쪽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개발사업 승인취소 소송과,사업집행정지 행정심판 청구에 대한 두 후보의 입장에도 차이가 났다.

 고후보는 “환경단체가 소송을 제기한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가지만,이 문제는 대화로 해결할 문제지 법으로 따질 문제는 아니”라고 말한 반면 변후보는 “대화로 해결될 성질의 것이 못된다”며 “전문가적 시점에서 다시한번 따져보는 ‘제3의 작업’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김성진 기자>

◈감귤폭락 책임 공방

 후보들은 감귤가격 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심에 대해 걱정하고 고질적인 감귤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했으나 가격폭락 원인과 책임규명을 놓고 후보들간에 가시돋친 설전이 오고갔다.

 변정일 후보는 감귤가격 폭락원인을 과잉생산,당도하락,도의 허술한 통계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또 해결책으로 감귤생산과 유통 및 가격에 관한 법률을 제정,감귤의 최저가격제와 재해보상제 도입등을 제시했다.

 고진부 후보도 폭락원인을 감귤의 과잉생산과 제주감귤이 조생온주의 집중에 따른 홍수출하등으로 꼽았다.

 이에대한 해결책으로 감귤진흥법 제정,감귤가공공장의 수용량을 10만t으로 확대하고 고품질의 재배농가에 대한 재정적 지원확보등을 내세웠다.

 고후보는 이어 변후보에게 “지난 1일 열린 토론회에서 ‘감귤은 도지사,시장·군수가 해결할 문제’라고 책임을 회피했는데 이제와서 감귤을 해결하겠다고 나선 저의가 무엇이냐”며 “또한 4년전 선거에도 감귤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으나 해결되지 않은채 이번 선거에도 똑같은 공약을 남발하고 있다”고 반론을 제시했다.

 이에대해 변후보는 “토론회때 감귤문제의 책임은 도지사,시장·군수가 전적으로 져야 한다는 말을 한적이 없다.또 감귤문제 해결은 도지사등이 열심히 일했는데 잘안돼 이제 확실히 나서야겠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대답한 뒤 “고후보가 가격폭락원인으로 제시한 조생온주 집중체계는 누구나 아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고후보도 이어지는 반론에서 “변후보가 폭락원인으로 진단한 과잉생산도 뻔한 말”이라고 되받아친 뒤 “변후보는 감귤의 가격폭락때 중앙에서 무엇을 했고 더구나 감귤판촉에 적극 나선는지 의심스럽다”고 재공격했다.

 변후보도 이에 맞서 “중앙에서 감귤판촉 노력은 같은당인 우지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다”며 “국회의원 후보 정책토론회까지 상대후보의 말꼬리를 계속 잡아 흠집내기에 나서는 것은 유권자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후보들은 이어 “감귤산업은 호남지역으로 치면 쌀 농사와 같은 제주의 생명산업”이라며 “쌀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어 제주의 생존권 차원에서도 감귤특별법 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내며 기나긴 설전이 오고간 감귤문제 해결에 대한 질의을 끝냈다.<이창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