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역사교육 올해 첫 시작 "4·3 진척"

“다 끝난 줄 알았어. 근데 그저 숨 한번 고른 느낌밖에 들지 않아”. 지난해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채택과 대통령의 공식 사과가 있은 후 한 촌로가 내뱉은 말이다. 보고서 채택과 대통령의 사과에도 불구, 4·3은 끝이 아닌 연장선상에 있음이 이 한 마디에 그대로 녹아있다.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 진정한 의미에서 4·3의 정확한 실체규명과 명예회복은 그래서 이제부터 시작이다. 또 다시 4·3을 노래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제주도민들은 지난해 비로소 반세기 넘게 짓눌려온 이데올로기의 굴레를 벗을 수 있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4·3진상조사보고서」를 채택했고, 대통령이 직접 도민 앞에 ‘과거 국가 권력의 잘못’에 대해 정중히 사과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15일 확정된 진상조사보고서는 4·3에 대해 ‘1947년 3월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경찰·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21일까지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했다.

보고서는 말미에 정부에 7개 건의사항의 이행을 권고했고, 건의사항 첫째인 ‘정부의 공식 사과’는 보고서 채택 보름 뒤인 10월31일 제주에서 이뤄졌다.

이날 이뤄진 노무현 대통령의 사과는 과거 정부의 잘못된 국가권력의 행사에 의한 양민학살에 대해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이 밖의 건의사항에 대해서도 중앙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본격 추진에 나서면서 4·3의 진정한 해결을 위한 발걸음이 더욱 재지는 것도 사실이다.

미래의 동량인 자라나는 후세들에 대한 ‘4·3역사교육’이 교육당국에 의해 올해 처음으로 시작됐고, 전국에 산재해 있는 왜곡된 4·3역사 기록물들도 하나둘 고쳐지고 있다.

또 제주시 봉개동에 들어서는 4·3평화공원은 지난해 첫 삽을 뜬 후 1년만에 1단계 사업 완공을 목전에 두고 있다. 올해부터는 또 다시 2006년까지 2단계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희생자 심사·결정작업도 탄력을 받고 있고, 그 동안 방치돼 훼손위기에 처한 유적지에 대한 기초작업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수형인 문제 등은 아직도 반공 이데올로기의 공세에 막혀 좀체 진전하지 못한 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4·3중앙위원회는 지난달 9일 제9차 전체회의를 열고 4·3추모기념일 지정과 유족에 대한 생계비 지원문제에 대해서는 장기 검토과제로 남겨둬 아쉬움을 사고 있다.

집단매장지나 유적지 조사·발굴 등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도 아직까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는 ‘4·3’의 진정한 해결을 위한 여정이 길고도 순탄치만은 않다는 걸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제주4·3 제56주기를 맞는 올해는 사실상 그 동안 제주도민들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이뤄나가는 ‘원년’으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이제는 지난 2000년 제정된 ‘4·3특별법’상의 진상규명 범주를 뛰어넘어 한 단계 더 성숙한 ‘4·3운동’이 진행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