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분 갈등…총장 조정능력 상실‘책임론’대두

▲ 16일 제주교육대학교 학생 500여명이 교·사대 통폐합 반대를 주장하며 대규모 집회를 벌였다. <김대생 기자>
“학생들보다 먼저 나서야할 교수들이 왜 이러는지…”지난 15일 오후 비공개로 열린 제주교대 통·폐합 반대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자리에서 나온 발언의 일부다. 지난 5월25일 시작된 제주교대 총장선거 파행이 20일째를 넘어서고 있지만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결국 제주교대는 총장 임기 30일전으로 규정된 총장임용후보자 추천기일(6월14일)을 넘김에 따라 7월14일부터 교육인적자원부가 지정하는 총장 직무대리 체제가 불가피하게 됐다. 관행상 제주교대 교무처장이 직무대리가 될 전망이다.

초등학교 반장선거보다도 못했다는 비판에 이어 반장마저 뽑지 못해 ‘학교 밖에서 임시 반장을 선정’ 하는 셈이 됐다.

이에 따라 제주교대 안·팎으로는 소속 교수들은 물론 학교선거관리위원회와 중재에 실패한 총장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이런 실정이면 차라리 일부 대학처럼 외부에서 총장을 영입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까지 제기되고 있다.

교대 선관위는 ‘적법한 절차에 의한 선거’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하루 만에 번복한 선거 인수 해석 등 매끄럽지 못한 ‘선거관리’로 파행의 책임론을 벗을 수 없는 상황이다. 협상테이블 마련 등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다는 현종익 총장은 결과적으로 갈등 당사자들간의 합의를 이끌어 낼만한 중재능력과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소속 교수들 역시 파행 이후 오히려 ‘개혁교수협의회’와 ‘학교정상화를 위한 교수’측으로 사실상 양분돼 갈등의 골만 깊어지고 있다.

제주교대 한 동문은 “학내 민주세력과 기득권 세력간 대결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총장 선거 파행으로 정작 피해를 본 것은 교대학생들”이라며 “힘의 논리를 동원한 해결이 아니라면 양측 모두 대타협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중앙선거관리위원회까지 유권해석을 할 수 없는 정도로 대학 자체에만 맡겨버리는 대학 총장 선거 관련한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