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여명 규모의 추가 모집에 나섰던 지역 실업계고들 모두 정원 채우기에 실패했다.

평준화지역 탈락학생은 75명. 지역 일반계고와 실업고 미달 학생수는 204명. 정원을 채우겠다는 생각은 애초부터 할 수 없었다.

지난해만 해도 평준화지역 탈락학생이 145여명에 이르면서 적극적인 신입생 유치 활동을 벌였지만 올해는 그것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실업고 신입생 미달사태는 사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러기에 ‘특성화’작업 등 다양한 부양책이 도입되기도 했다.

그렇다고 지금의 문제를 단지 학부모와 학생들의 ‘지나친’ 인문고 선호 현상과 제주시 쏠림 현상으로 치부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취재중 한 실업고 관계자는 “조금이라도 학생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실력을 키워야 할 시간에 신입생 모집을 위해 절절 매야하는게 현실”이라고 하소연했다.

“지역학교를 살리고 싶다면야 일반계고로 전환하는게 방법일테고 어디 실업고를 위한 해법이란게 있겠느냐”며 또 한번의 추가 모집 계획이나 실업고 활성화에 대한 질문에는 “글쎄요”란 답만 되풀이했다.

다른 관계자는 “미달 사태를 막고 실업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던 ‘정원 조정’ 작업이 결국 제주시로의 학생 이동만 부추겼다”며 “처음부터 교육청의 계획 속에 실업계고는 없었다”고 섭섭함을 감추려 하지 않았다.

이래도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지 못한 실업고만 탓해야 할까. ‘내탓이요’가 아니라 ‘뉘탓이요’가 되어버린 지역 실업고들의 현실이 씁쓸해진다. <고 미 기자ㆍ교육체육부>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