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57주년을 기념한 ‘4·3평화인권포럼’이 1일 오전 10시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2일까지 이틀 일정으로 열리고 있다.

제주4·3연구소(소장 이규배)가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위하여’ 주제로 마련한 이번 포럼에는 한·중·일 3개국 학자 등이 대거 참석, △제노사이드(집단학살)의 역사적 교훈 △평화인권운동의 사례와 현재 △동아시아 평화연대 구상 등 크게 3주제로 나눠 주제발표·토론이 진행된다.

주바오친 중국 남경대 교수는 ‘중국 남경대학살과 중국인들의 인식’주제발표를 통해 “남경대학살은 60여년 전의 일이지만 우리가 공포와 죄악으로 가득 찼던 과거사를 회고하는 일은 보복 때문이 아니라 정의실현과 역사적 경험을 교훈으로 삼기 위함이다”고 말했다.

1937년 12월8일부터 1938년 3월1일까지 남경 등지서 자행된 일본군의 만행을 기록한 ‘청뤠이팡 일기’를 소개하며 발표를 이어간 그는 “하지만 중국의 피해자들은 일본정부의 공식 사과는 물론 보상도 받지 못한 채 일본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동중국해 유전분쟁, 일본 우익세력들의 역사교과서 왜곡 등으로 또 한번 심적 고통을 받고 있다”며 “무고한 피는 헛되지 말아야 하며 역사의 비극은 결코 재현돼선 안 된다”고 단언했다.

그는 특히 “인간에게 함부로 저지른 만행은 철저히 청산하고 역사를 교훈 삼아 명확한 역사관을 세워 다음 세대를 교육하는 것이 세계의 평화실현에 공헌하는 길이다”고 강조했다.

‘일본 오키나와전쟁과 주민학살의 교훈’주제발표를 한 아라카키 야스코씨(대학강사)는 “일본은 전쟁체험을 겪으면서 아시아 사람들을 괴롭힌 과거가 있음에도 현재 상황은 미일안보체제 아래서 이라크에 자위대를 파병하기 위해 개헌하려는 움직임까지 일어나는 등 좋지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이런 딜레마 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과거 역사를 바로 보는 안목을 갖는 길뿐이다”고 말했다.

‘20세기 한국에서의 학살’ 주제발표를 한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는 “한국전쟁 당시 한국정부의 사상범 통제와 이후 처형작업, 제주4·3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 후 한국군에 의해 저질러진 학살은 극우 반공주의 아래서 정당화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유사 인종주의(‘빨갱이’담론)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날 오후에는 ‘제주4·3과 평화인권운동’(김영범 대구대 교수), ‘5·18항쟁과 평화인권운동’(최명태 전남대 5·18연구소장), ‘중국 남경대학살 연구현황과 평화운동’(장시엔원 중국 남경대 남경대학살연구회장), ‘히로시마의 평화인권운동’(가즈미 미즈모토 히로시마 평화연구소 연구원) 등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포럼 이틀째인 2일에는 ‘동아시아 평화연대의 구상’을 큰 주제로 ‘동북아의 평화공동체 구상의 실천적 방안’(박명림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 ‘평화공동체 구축과 지역사회’(이토 나리히코 일본 중앙대 교수) 주제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