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는 치료할 필요가 없다
어린이의 치아는 나중에 빠진다는 이유로 썩어도 치과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일단 유치가 잘 썩는다는 것은 그만큼 영구치도 잘 썩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대구치의 경우 6세에 맹출하게 되는데 이것을 유치로 오해하여 방치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유치가 모두 빠지게되는 12살 전후의 시기 이전에 조기 상실되었을 경우 영구치의 맹출공간이 부족하여 덧니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일단 덧니가 되면 교정이외에는 방법이 없고 시간적 경제적 손실또한 엄청나다. 영구치가 맹출하는 것은 그 위에 있던 유치를 따라서 나오게 되므로 유치의 공간유지 기능도 고려하여야 한다. 저작기능은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는 소화의 첫번째 단계. 따라서 이가 아프면 연한 음식만 찾게 되는 편식현상이 일어나는 등 결과적으로 신체발육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빠진 이는 나중에 치료해도 좋다.
이가 빠지게 되면 입속에서는 많은 일이 일어나게 된다. 우선 이가 빠진 부분에서는 치조골 즉 잇몸뼈의 흡수가 시작된다. 치조골을 높이와 폭 모두 흡수되어 심하면 칼날과 같은 형태까지 흡수된다. 만약 임플란트를 이용한다면 이러한 치조골의 손실은 치면적이다. 일반적인 경우 임플란트는 직경과 길이가 길수록 그 효과가 극대화되는데 한번 흡수된 치조골을 되살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보철을 하게 되거나 틀니를 하게 되는 경우도 치조골의 양은 어떠한 보철이건 보철물의 효율을 크게 좌우한다. 또한 이가 빠진 주위의 치아들이 이가 빠진 공간쪽으로 기울고 맞닿아 있던 치아는 공간쪽으로 자라나오게되어 심한경우 반대쪽 잇몸까지 자라나오게 된다. 어금니가 빠져도 주위의 치아들이 빠진쪽으로 이동하여 결국은 앞니까지도 공간이 벌어지게 되어 교정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이가 빠지면 바로 처치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견딜 수있는 만큼 견딘다.
누구에게나 이를 빼는 것은 싫은 일이다. 하지만 더 이상 희망이 없고 악화되기만 할 경우는 발치하는 것이 좋다. 염증이 계속되면 통증과는 상관없이 치조골은 계속 흡수되고 있는것이다. 정확한 진단하에 적저한 처치만이 치아를 보존하는 길이다.

△이를 씌우면 썩지 않는다.
이를 씌우게 되는 경우는 대부분 신경치료를 한 경우이다. 신경치료란 신경을 치료한다기 보다 치아내에 있는 신경과 혈관조직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신경을 제거 하면서 혈관도 같이 제거되는데 이로서 치아는 생명력이 없는 죽은 이가 된다. 그리하여 탄력을 잃고 푸석푸석하고 쪼개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를 씌우게 된다. 그러나 신경치료한 이는 더욱 썩기쉽고 깨어지기도 쉬운 상태이므로 더욱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아무리 잘 든 이라도 원래의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 인간의 작품을 어찌 신의 작품에 비할까.<김수걸·치과의·제민일보의료자문위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