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논리에 밀리는 제주 전력수급<상>

제주도 전역이 전력공급 중단사태를 겪었으나 사고발생 3일이 지난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파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3일부터 합동조사단을 파견해 사고원인을 조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서는 제주와 전남 해남을 잇는 해저송전케이블선(110㎞)에 대한 정확한 점검은 물론 특별자치도·국제자유도시를 표방한 제주가 ‘경제논리’가 아닌 ‘안정적 전력공급’ 방안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료비 값싼 고압직류 송전설비
제주지역에 해저케이블을 통해 공급되고 있는 전력은 발전 단가가 낮은 육지계통의 ‘고압직류 송전설비(HVDC)’로 제주지역 사용량의 50%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HVDC는 150㎿ 2개로 운영, AC(교류)전력을 DC(직류)전력으로 전환해 공급하는 것으로 해당 지역에선 다시 AC전력으로 전환시켜 공급하는 방식이다.

한국전력이 지난해 발전회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단가는 원자력(국내 사용량 40%) 기준 1㎾당 40∼42원이며 국내 전력사용량의 16%를 공급하는 LNG전력공급단가는 160원 가량으로 평균 4배 이상 차이가 난다.

한전은 가뜩이나 전기를 공급해도 마이너스인 ‘적자지역’에 LNG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 발전회사와 새로운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육지부 시장보다 훨씬 작은 제주지역은 160원(1㎾)보다 값비싼 가격에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지자체 전력수급 낙제점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해 제주지역 전력사용량은 최대 54만1100㎾다. 지난 98년 28만4000㎾에서 9년 사이 1.9배 늘어난 셈이며 2007년엔 57만2500㎾, 2009년 63만700㎾, 2011년 68만5500㎾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런 증가세라면 2015년엔 79만510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올 전력수급량은 56만㎾에 그치고 있으며 최대설비용량은 56만1800㎾에 그쳐 ‘제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준으로 설비예비율은 3.8%, 공급예비율 3.5%에 그치는 수준이다. 각각 10만㎾ 용량인 남제주화력의 3·4호기도 오는 9월과 2007년 3월부터 가동될 예정으로 최대 전력사용시기인 8월엔 ‘전력대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전과 전력거래소에서도 해저송전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면 도내 일부지역은 정전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전력수급 대책 있어야
지난 1일 제주지역의 전기공급중단 사태에선 ‘다행히’ 심각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독자적인 전력공급의 필요성을 여실히 보여준 사건이었다.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에 의해 섬 전체가 마비되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선 전력공급에 대한 접근을 더 이상 ‘경제논리’로 풀어선 안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남제주화력의 3·4호기가 가동된다 해도 실제 사용량과 비교하면 전력량은 넉넉하지 않은 상황이다”며 “특별자치도, 국제자유도시에 걸맞는 에너지수급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