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균형발전 기초는 무엇보다도 대중교통 개선의 선행이라고 본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이후 과연 교통정책 운영체계의 어떠한 변화가 있었을까.

행정당국이나 민의 대변인 의회는 교통행정의 문제점이 드러날 때마다 개선의지나 새로운 운영체계도입의 시도보다 모색하겠다는 말만 해왔다. 2005년 모 버스업체가 경영악화로 도산하자, 제주시는 노선의 단순화·직선화를 통해 효율적인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공영차고지 조성, 버스 전용차로, 환승체계 도입, 적자노선 손실보전과 시내·외 버스 통합 운영, 택시 등 교통광역화 계획수립으로 대중교통의 효율화 공공성 확보, 공영버스 도입, 공동배차제 실시와 불합리한 버스노선·정류소의 조정을 들었다.

또한 대중교통의 안정적 운행을 위한 각종 세금감면과 재정지원 확대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수없이 쏟아져 나왔지만, 실질적인 개선은 지난 3월 도입된 시내·외 버스 무료 환승제 하나뿐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이마저도 홍보가 되지 않은 터라 대부분 시민들은 아직도 환승제를 이해하지 못하고 ‘환승제가 뭐여! 도대체 어디서 환승하는 거여!’라며 답답해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노선 구조와 배차 시간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제주시 중앙로를 중심으로 집중화된 반면 외곽지역을 외면하고 짜여진 노선이 문제다.
 
이로 인해 일부학교는 자체 스쿨버스 도입을 검토하기에 이르렀다.

제주도의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은 3.8%로 전국평균 27%에 훨씬 못미친다. 이 정도면 대중교통은 시민의 발이 아닌 허울로 전락해 버린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된다.

제주도민이 얼마나 여유가 있어 인상되는 유가에도 불구하고 차량보유대수 전국 1위이며, 농가부채 전국 1위라는 오명 속에서도 농촌 학생을 시내로 전학시키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학생들도 30~40분 거리임에도 통학을 위해 학교 근처로 옮겨야 하는 경제적 이중고를 감내하는 실정이다.

운수업체 수익위주 노선운행은 공익업체로서 질타받아 마땅하다. 시민의 발로서 역할을 하도록 제도적 개선의지를 보이지 않는 행정편의주의는 더이상 묵과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도서벽지 지역의 대중교통이용편의를 위한 효율적 버스운영체계 개편이 조속히 요구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외면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단순한 교통수단 개념을 넘어서 교통약자 즉 서민과 학생을 위한 복지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개선의지를 보여야 한다. 아직도 특단의 방안을 모색 중이라면 지금쯤이면 표면상으로 보여야 하지 않을까. <이행철·자영업·제주시 아라1동>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