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영웅이라기보다 ‘구국의 영웅들’이다. 오로지 민족 최대 비극을 극복하기 위한 구국일념으로 불타올랐던 제주도 청년과 학도병, 교사들로 주축을 이뤘던 해병 3·4기생 3000명. 들고 있던 ‘펜과 분필’을 총으로 바꿔 출정했던 그들이다. 그 정신은 오늘날에도 자유민주주의 수호, 민족평화통일의 의지로 굳건하게 이어지고 있다.

1950년 9월1일 제주항 산지부두를 떠나 15일 18시30분, 맥아더 장군이 지휘한 한·미 해병대합동 ‘인천상륙작전’에 임한 제주도 해병 3·4기생들은 ‘견습수병’ 계급장을 달고 9·18 수도 서울탈환, 그 환희와 감격의 선봉에 섰다. 해병 3·4기생들이 투입돼 혁혁한 전공을 거둔 1951년 6월, 도솔산 전투에 대통령은 ‘무적해병’이란 휘호를 내렸다. 원산, 고성, 동양리, 함흥 검살령 등지는 물론 펀치볼 김일성고지, 모택동 고지, 장단 및 사천강 지구 전투 등 승리의 주역들.

생존해 있는 해병 3·4기 ‘구국의 영웅들’은 이제 70대 중반 전후의 노해병으로서 원로 해병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전쟁이 안겨준 상처로 고생하다가 병사한 분들은 또 얼마나 되는가. 56년전 제주지역사회는 4·3의 회오리가 아직 진정되지 않은 시기였다. 10대 중학생들이, 선생님들이, 청·장년들이 혈서로 자원입대에 임했다. 그뿐인가. 중학교 3학년 이상 여학생과 여교사 126명도 입대했다. 해병대 최초 여군의 탄생이었다.

지난 15일 인천상륙작전기념관에서 열린 인천상륙작전 제56주년 기념식에 제주도의 해병 3·4기 노병들은 기꺼이 자비로 참석했다고 한다. 국가·지역적 지원이 너무나 빈약하기만 한 현실이다. 해병 3·4기는 물론 육·해·공군 한국전쟁 참전용사들과 유족들에 대한 예우는 반드시 필요한 일 아니던가. 또한 불우한 환경에 처한 참전용사들의 삶을 돌아보고 그분들의 우국충정에 보답해야 옳다.

오늘 ‘제주특별자치도 해병대의 날’ 기념식이 열린다. 해병 전우들이 제주도에 참 많다. 자원입대가 많았던 점 역시 전통일 것이다. 4면이 바다여서만이 아니다. 해상활동이 왕성했던 탐라국의 후예임이 잘 드러나는 현상이다. 팔각모와 빨간 명찰,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는 캐치프레이즈가 참으로 빛나 보인다.<안창흡 / 민주언론시민연합 회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