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올해 여성정책 이슈는 단연 여성정책 기구의 강화다.

제주자치도 출범에 따라 성평등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수순이긴 하나, 이는 예성계가 오랫동안 제기해 이룬 성과였음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여성정책을 총괄하는 보건복지여성국은 여성정책·여성복지·보육 담당 등 3개 계이던 것이  여성정책·여성활동지원·아동보육·가족지원 담당 등 1개 계가 느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여성정책을 보좌하는 도지사 직속의 여성정책특별보좌관제도를 도입하고, 도 여성교육문화센터 기능을 확대해 여성능력개발본부를 신설한 것도 제주여성 정책 연구 및 개발에 가속도를 예고했다.

그간 흩어졌거나 서로 중복되는 업무로 인해 여성계로부터‘옥상옥’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조직들은 업무의 일원화·차별화의 길에 접어드는 듯했다. 

그러나 보건복지여성국, 여성능력개발본부, 여성특별위원회 등 여성정책 관련 조직들을 보면 왠지 현기증이 인다. 여성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제주도의 조직 정비 논의는 아직도 백지상태다.

특히 여성능력개발본부 안에 기능과 역할이 중복된 3개의 자문위원회를 둬 업무중복과 행정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여성능력개발본부의 조사연구 업무와 제주도여성특별위원회의 조사 업무가 겹치는 것도 문제다.
정책여성정책과 관련된 기구와 위원회 기능·역할에 대한 업무 분장이 제주자치도 출범 4개월 째인 지금도 제자리걸음이라는 비판이 여성계에서 일고 있는 것은 당연지사다.

방문추 도의회 의원(복지안전위원회 소속)도 제233회 임시회에서 여성정책과 관련된 기구 및 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이 중첩돼 있다며 관련 조직간의 업무 분장을 주문했다.
제주도는 ‘여성정책 기구 강화’라는 선언보다 관련 조직들에 대한 정비에 우선 소매를 걷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