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제주민예총 정책심포지엄

(사)민족예술인총연합 제주도지회가 지난 11일 오후 2시 제주시열린정보센터에서 ‘4·3문화예술운동의 과제와 60주년’주제로 심포지엄을 가졌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국가의례체계에서 갖는 4·3의 위상과 민중의례 체계가 변화하는 세태에서 지닌 과제 등을 짚어보았고, 문화자원으로서 가치를 확장하기 위한 대안도 모색했다.

한석정 동아대 교수는 이날 ‘국가의례와 민중의례의 전개방신’주제발제에서 “그간 제주도의 운동가, 예술인들도 문학, 연극, 극영화, TV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부단히 4·3의 참혹상을 알렸으며, 더러는 제주도 항쟁의 정신이라는 일종의 대항기억을 만들어왔다”고 언급했다.

한 교수는 그러나 “비공식적 상징세계는 끈질긴 생명력이 있으나, 확산 범위가 좁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4·3관련 운동가와 유족들의 오랜 노력으로 2003년 ‘제주4·3사건 진상보고서’가 확정돼 4·3은 공식 역사 속으로 진입했고, 이제 남은 과제는 이‘흐름’을 가속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흐름’에는 역사교과서에서 비무장 민간인에 대한 국가의 대량 학살의 비극을 기록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4·3공원을 국민적 위령공간으로 만들고, 정부의 공식적 사과와 보상, 국가보안법 철폐 등 냉전 유산의 신속한 정리, 그런 일에 헌신하는 정부를 선출하는 일이 포함된다고 한 교수는 말했다.

한편 정근식 서울대학교 교수는 ‘역사적 사건·사실의 진상규명과 문화자원화 방안’주제 발제에서 4·3기념사업의 현실과 과제를 진단했다.

정 교수는 문화예술제적 성격이 강한 4·3 행사들을 열거하면서 대부분의 의례가 유사한 형식을 취함으로써 행사들가 차별성이 약해진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들면서, 4·3기억이 무대 뿐 아니라 기념의례 속에 어떻게 자리잡아 집합적으로 기억의 재생산을 해낼 것인지를 과제로 짚었다.

정 교수는 또 “4·3기념사업에 관한 이론적 성찰을 통해 한국의 기념사업이나 다크 투어리즘 연구를 진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