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 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주민·전문가 등으로 ‘살기좋은 지역추진단‘이 구성되고, 시범마을에서는 금융기관·복지센터·공동판매장 등을 갖춘 주민커뮤니티센터가 건립된다.

우리지역도 일본 등 외국처럼 각각의 지역이 가지고 있는 개성과 부존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고품격의 생활공간으로 거듭 태어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정부가 ‘21세기형 새마을운동’ 이라며 남다른 의욕을 갖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다. 선정된 지역은 산업형·문화형·교육형·가족형·관광형·전통형 등 모두 9개 유형으로 나눴다.

이를테면 산업형이란 지역에 있는 사업을 지원해 마을을 조성하고 발전시키는 형태다. 중앙 지원계획이 확정되면 최종 선정 우수마을에 3년간 인센티브 사업비로만 모두 20억원을 지원한다. 중앙지원이 안된 우수 마을에도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16개 마을을 선정 매년 5000만원에서 1억원을 지원한다.

행자부에서는 이와 관련, 올 연말에 추진실적을 1차로 평가할 것이며, 이를 근거로 평균 10억원의 인센티브 사업비를 평가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 이들 지역엔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각종 사업이 추가로 지원돼 사업의 성과를 높이는 엄청난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행자부의 정보화마을 사업, 문화관광부의 역사문화 보존사업 등 모두 120가지 사업 중 가능한 것을 묶어 지원한다.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은 어느 특정 마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마을이 다 동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중에서도 마을주민들의 의견을 널리 수렴할 수 있는 마을이 앞서 나갈 수 있는 상황이라 하겠다.

제주의 경우는 그 추진방향과 전략을 다소 색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여겨진다. 마을별로 살기좋은 지역을 반드시 만들겠다는 꿈을 꾸어야 하며, 마을이 가진 소중한 보물(자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유능하고 헌신적인 마을 일꾼을 발굴해서 육성해야 곳곳에 널려 있는 자원을 찾을 수 있다.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과 삶의 질을 스스로 높이려는 자발적 시민운동이 널리 확산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허철훈 구좌읍 사회복지사>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