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골재 채취로 크게 훼손됐던 곶자왈 지역에 다시 골프장 개발이 예정되는 등 수난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곶자왈 공유화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는 데다 ‘세계자연유산’지정 등 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진행, 행정당국이 곶자왈 관리에 손을 놓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도내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2월 모 업체를 골프장 사업시행 예정자로 지정했다.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일대 1240㎡ 면적에 총투자비 1013억원을 들여 18홀 규모 골프장과 숙박시설 등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주요 사업 계획이다.

하지만 골프장 들어서는 곳은 실질적인 곶자왈 지역으로 행정당국의 무관심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골프장 조성지 인근에는 돌오름(도너리오름)곶자왈 용암류가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분화구에서 용암이 분출되면서 생성된 점을 감안할 때 이들 지역 역시 적잖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골프장 부지에는 현재 골재채취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지난 2005년 허가 받은 면적에 3배가 넘는 곶자왈에 대한 불법 골재 채취로 현상복구 명령까지 받은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곳은 또 ‘도내 임야면적의 5%’라는 골프장 허용면적에 맞춘 마지막 골프장 예정지라는 점에서 자치단체가 골프장 ‘난개발’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6월말 도내 골프장은 현재 운영중인 21곳 외에 개발승인을 받아 공사가 진행중인 곳이 12곳, 인·허가 절차를 밝고 있는 곳이 2곳, 사업예정자 지정을 받은 2곳 등 모두 37곳이나 된다. 이들 골프장 부지 면적만 4300만㎡으로 도내 전체 임야면적(905㎢)의 5%인 4500만㎡를 거의 채우고 있는 실정이다.

가뜩이나 과밀·과당 경쟁으로 골프장 업계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앞으로 문을 열 예정인 골프장만 16곳이 남아 있는 데다 도의 기준대로라면 아직 골프장을 만들 여력이 남아 있는 셈이다.

마지막 골프장 예정지를 포함하면 이 일대에만 13곳의 골프장이 밀집돼 있는 등 생태축 역할을 해오던 곶자왈 지역 단절 우려까지 낳고 있다.

송시태 곶자왈사람들 상임 대표는 “곶자왈에 대한 이해 부족도 문제지만 허가를 주기 전 주변 생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개발 여부를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며 “환경보전은 있는 것을 지키는 것만이 아니라 훼손되지 않도록 사전에 지키는 것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자연유산 등재 등 환경 보존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할 행정당국이 정작 곶자왈 관리는 ‘방치’하고 있다”며 “곶자왈 훼손에 대해 ‘현상복구’명령만 내릴 뿐 개발에선 여전히 면죄부를 주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고 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