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법 제정 비롯 대통령 사과 등 많은 성과
추념일 지정·평화공원 운영 등 과제 산적

내년 제주 4·3 60주년을 맞아 4·3사료관 준공과 4·3평화재단이 설립 등 4·3의 발전적 해결을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으나 정부의 계속적인 관심 유도와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반세기 가까이 진실조차 규명하지 못했던 4·3은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가 집권한 지난 10년간 많은 성과를 이뤄냈다.

1999년 12월 역사적인 4·3특별법이 제정됐으며 2003년 제주4·3사건진상보고서 확정,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사과에 이어 지난해 제58주기 제주4·3사건위령제에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하는 등 4·3해결을 위해 정부차원의 노력이 이어졌다.

정부는 또 지난 2005년 1월27일 제주를 세계 평화의 섬으로 공식 지정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선도하는 지역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했다.

이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주도는 정부의 지원으로 전시 및 교육(제주국제평화센터)·연구(제주평화연구원)·운동(4·3평화재단과 4·3공원)을 평화의 섬 추진 3대 축으로 설정, 각종 사업을 추진중이다.

그러나 앞으로도 국가 추념일 지정과 제주4·3사료관 및 평화공원 운영관리, 희생자 추가조사와 유해발굴, 4·3유적지 보존, 생계곤란자 지원 및 의료비 지원 등 추진해야 할 사업들이 많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집권하게 되면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다음 정부의 4·3 해결 의지가 현 정부에 비해 낮고 이명박 당선자의 제주지역 공약도 여권 후보에 비해 미흡하기 때문이다.

4·3의 해결은 과거 불행했던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만이 아니다. 불행했던 역사의 경험을 화해와 평화의 정신으로 승화시켜 제주를 동북아평화허브로 만들어 나감으로써 제주의 발전뿐 아니라 국가의 번영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점을 확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김석주 기자 sjview@jemin.com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