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나면 와닿는 말이 'IMF'였던 때가 있었다. 생활주변에서 원하든 원하지않든 대화의 공통분모로 돌출되며 한동안 귓가를 떠나지않았다. 적지않은 희생을 강요한데다 아직도 진행형인 IMF생활은 국가경제위기에서 비롯된 결과다.

우리가 이미 겪었듯 국제구제금융의 화두는 구조조정이었다. 두터운 거품을 제거하고 부실한 부분은 도려내야하는 과제가 눈앞에 놓여있다는 말과같다. 사조직은 물론 공조직도 '조직의 새틀'을 다듬는 일로부터 결코 자유스럽지못함을 의미한다.

구조조정은 마치 약속된것처럼 실업태풍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수많은 월급쟁이들이 구조조정이라는 명분에 짓눌린채 회사책상서랍을 정리해야했다. 평생직장으로 믿었던 일터에서 명예및 희망퇴직으로 포장된채 졸지에 노동력에 사형선고를 당할수밖에 없었다.

우리사회에 한바탕 몰아친 실업공포는 사실상 이전에 경험못했던 일이었다. 일자리뿐아니라 회사자체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정신적 고통을 받아온 사람들은 결코 적은수가 아니다. 이런 까닭에 너나없이 '퇴출의 시대'에 살고있음을 새삼스레 느낀게 사실이다.

이른바 '퇴출바람'이 최근들며 지방의회로까지 번진 실정이다. 도내 8개 사회단체가 공동으로 의장선출과정에서 금품을 주고받은것으로 드러난 의원들을 중심으로 강제퇴출시키는 시민운동에 나섰다. 사퇴서명운동을 통해 도덕적 책임을 묻겠다는 신호탄이다.

지방의회를 압박하는 시민들의 퇴출운동은 의회 스스로가 초래한셈이다. 경제위기가 구제금융과 퇴출시대를 낳은것과 마찬가지인 꼴이다. 지방의회가 부도덕과 감투싸움에 빠져 비틀거리지만 않았어도 퇴출이라는 극약처방을 들고 견제에 나설수는 없는 일이다.

결국 지방의회를 겨누는 퇴출화살은 의사당의 질적인 구조조정에다 목표를 두고있다. 함량미달의 의원은 뒤늦게라도 가려내 도태시켜야한다는 유권자들의 항의몸짓이다. 지방의회의 도덕적 해이는 더이상 방관않겠다는 시민들의 강력한 경고나 다름없다.

게다가 퇴출외침에 소리없이 공감대를 표출하는 민초들이 많은것같아 다행스럽다. 언제부터인지 지방의회가 깊은 불신임을 받고있음을 반증해주는 일이 아닐수없다. 바로 이런 분위기의 연장선에서 지방자치의 구조조정도 거론되고있는것이다.<백승훈·서귀포지사장 겸 편집부국장>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