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60주년기념 정명을 위한 토론회에서 제기
박찬식 교수 “4.3은 외부압력에 저항한 제주민란의 전형”
양정심 교수 “통일국가 추구한 4.3항쟁은 현대사 전환점”

   
 
   
 

“4.3은 제주공동체 존립을 위한 항쟁이었다”

지난 29일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열린 ‘4.3 제60주년 기념 4.3의 정명(正名)을 위한 토론회’에서 박찬식 제주대 연구교수(제주 4.3연구소장)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공동체의 관점에서 볼때 4·3은 외부의 압력으로 제주의 독립·자치·자율의 전통과 공동체성이 파괴되어 갈 때 저항했던 과거 제주민란의 전형을 그대로 보여준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박 교수는 “이제 4·3을 북한정권 및 중앙남로당의 지시.지령에 의해 일어난 폭동으로 평가하는 단선적인 중앙 중심의 인식을 극복해야 한다”면서 “4·3은 지역 자존적이면서 한국민족운동과의 만남, 세계 냉전 체제하에서의 민간인 희생 등으로 해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도민 대다수는 토벌대의 대학살 등 침략당한 공동체를 지키려는 일념으로 저항했음을 유념해야 한다”며 “이런 점에서 4·3은 제주도의 특수성과 제주도민의 자존심이 담긴 역사적 사건으로 그 당위성이 성립되고, 민중사적 역사인식의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4·3에서 제주4·3항쟁으로’를 제목으로 두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양정심 이화여대 교수(이화사학연구소)는 “제주4·3에는 ‘학살’과 ‘희생’ 뿐만 아니라 ‘항쟁’의 역사가 분명 존재한다”면서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조금은 더 낳은 세상을 꿈꾸었던 제주도민의 꿈이 ‘제주4·3항쟁’에 녹아있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당시 제주도민은 두 쪽이 아닌 통일독립국가 수립을 원했고, 그들이 항쟁을 통해 통일정부를 갈망하는 민중의 의지를 대변했다는 점에서 ‘제주4·3항쟁’은 한국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윤충로 교수(한성대 전쟁과평화연구소)는 “제주4·3을 4·3항쟁의 역사로 위치지우기 위해서는 담론지형의 변화가 필요하지만 역사청산 작업에 대한 사회적 보수화 등으로 만만치 않다”며 “이러한 현실 속에서 4·3에 대한 새로운 의미 규정 시도는 지배적이고 획일화될 수 있는 역사 인식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시도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강성현 교수(성루산업대)는 “역사적 사실로 볼 때 ‘제주4.3항쟁’이 분명하므로 그렇게 명명하자는 주장에 대해 긍정하고 싶기도 하다”고 전제, “그러나 제주4.3을 항쟁의 기억으로 소환할 때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고 동의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해 봤으면 한다”고 밝혔다. 서울=김철웅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