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항쟁, 4·3으로 나뉜 60주년 행사…미완의 역사 반증
성격 규명 통한 올바른 이름 찾기 시급 4·3완전해결의 전제조건

   
 
  제주4.3의 실상과 성격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제주4.3평화기념관도 비석을 세우지 못한 채 3m 크기의 하얀 비석 ‘백비’(白碑)를 눕혀 놓고 있다. /박민호 기자  
 
포괄적 의미의 ‘4·3’은 4·3 발발 6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4·3이 여전히 미완의 기억에 머무르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대통령의 사과 등 진상규명·명예회복 조치가 잇따랐지만 4·3의 성격을 규명할 올바른 이름은 여전히 불명확하다.

4·3완전해결은 4·3 정명찾기에 비롯된다. 4·3정명찾기는 더이상 외면할 수 없는 당면과제다.

▲4·3 어떻게 불러야 하나

제주4·3은 1990년대 이전까지 반란, 폭동에서부터 사건, 인민무장투쟁, 제주민중항쟁 등으로 달리 해석되고 불려졌다.

1990년대 이후 진상규명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포괄적 개념의 ‘4·3’으로 불려지고 있을 뿐 여전히 ‘4·3’의 성격을 규명할 올바른 이름은 없다.

4·3 정명 찾기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4·3특별법 제정,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확정 이후 ‘4·3사건’으로 정의된 4·3에 대한 정명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05년 4·3특별법 개정과정에서 ‘4·3사건 정의 수정’ 논의와 요구가 이어졌으며 수난사적 측면만을 강조함으로써 도민의 저항정신은 사라져버린 현실 타협적 성격이라는 지적도 ‘4·3’토론회 석상마다 이어져왔다.

그러나 여전히 제 이름을 찾지 못한 채 4·3, 4·3사건, 4·3항쟁으로 명명되는 것은 미진한 진상규명, 명예회복에 한계를 드러내는 법·제도적 조치 등 4·3의 현주소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과 같다.

이러한 혼란은 4·3 60주년을 맞은 제주의 현 모습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도·내외 4·3단체로 구성된 4·3 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60주년 기념행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지만 도내 15개 시민사회단체는 ‘제주4·3민중항쟁 60주년 정신계승을 위한 공동행동’을 별도로 구성, 4·3을 항쟁의 역사로 해석한 ‘4·3항쟁 60주년 기념행사’를 치르고 있다.

4·3 세계화라는 구호에 앞서 4·3의 정명을 세우는 일이 선행돼야 할 과제인 셈이다.

▲4·3 완전해결 첫걸음

4·3 60주년을 맞아 4·3의 올바른 이름을 찾기 위한 움직임이 다시 본격화되고 있다.

역사학자들은 현재의 4·3은 일어난 배경과 원인 등에서 찾아야 하는 ‘항쟁’ 의미가 사라진채 반쪽의 역사로 해석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박찬식 4·3연구소 소장은 “제주의 독립·자치·자율의 전통과 연대의 공동체성이 외부 힘에 의해 억눌려 파괴될 때 존립을 위해 저항한 것이 4·3”이라며 ‘정의로운 저’항으로써 4·3정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양정심씨 이화여대 이화사학연구소 연구원은 4·3에는 ‘학살’과 ‘희생’의 역사가 아니라 ‘항쟁’의 역사가 있음을 지속 지적해왔다. 양씨는 “4·3이라는 명칭은 진상규명 과정에서 인권에 초점을 두면서 ‘항쟁’의미를 외면한 현실타협의 결과물”이라고 지적, “4·3은 국가권력에 맞서 항쟁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4·3정명찾기’ 담론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4·3 진상규명 과정에서 역사의 일부가 묻혀졌음을 지적하고 있다. 4·3특별법 제정, 4·3진상조사보고서 확정, 대통령의 사과 등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의 일련의 과정을 거쳤음에도 미명의 4·3은 여전히 미완성의 4·3을 의미하는 셈이다.

반쪽의 역사로 60주년을 맞은 4·3 정명 찾기는 4·3완전해결의 첫 걸음이자 더이상 늦춰질 수 없는 과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