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도민역량 결집 그 어느때보다 절실
추가진상조사, 정명찾기, 국가추념일 지정 등 4·3세계화 난제 산적
정부지원, 역사왜곡 불식, 4·3완전해결 위한 도민 한 목소리 필요

   
 
  ▲ /제민일보 자료사진  
 
도민들은 4·3 60주년을 4·3의 전국화, 세계화 원년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4·3위원회 폐지가 추진된데 이어 보수우익세력의 4·3 왜곡이 잇따르는 등 외적환경은 그 어느때보다 불안하다.

온 도민이 결집, 4·3특별법 제정, 진상조사보고서 확정 등을 이뤄냈던 것과 같이 ‘4·3 완전해결’을 위한 발걸음을 다시 시작해야 할 때다.

△ ‘60주년 앞에 놓인 4·3 난제들’

4·3 특별법 제정, 진상조사보고서 확정, 대통령 사과 등이 이뤄졌지만 이는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토대이자 과정일 뿐이다.

4·3을 평화와 인권의 역사, 역사의 교훈으로 되새기는 ‘4·3 완전해결’을 위해서는 여전히 수많은 과제가 4·3 60주년을 맞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제민일보가 지난 3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도민들은 4·3에 대한 추가진상조사(34.6%)를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이와 함께 국가추념일 지정 등을 포함할 4·3특별법 개정을 비롯해 4·3희생자에 대한 보상(18.1%), 4·3평화공원 3단계 사업에 대한 국가지원(18.1%)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에 앞서 2007년 12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도민들의 목소리는 같았다. .

도민들은 ‘4·3완전해결’ 과제로 국가차원의 추가진상조사(25.6%), 평화공원 등 정부지원 확대(25.6%) 등을 지목했다. 평화재단 설립 지원, 생계곤란 유족 지원, 국가추념일 지원 등도 4·3명예회복 과정에서 제외되서는 안되는 과제다.

이처럼 2003년 진상조사보고서 확정 이후 멈춰버린 4·3추가진상조사를 비롯, 4·3평화재단·공원 등에 대한 정부 지원, 518 유공자에 준하는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지원, 국가추념일 지정 등이 특별볍 개정 등을 통해 해결돼야 할 것으로 도민 여론이 모아지고 있다. 이는 ‘국가 공권력에 의한 비극적 사건’에 대한 국가의 당연한 책임이기 때문이다.

여전히 올바른 이름을 갖지 못한 채 ‘4·3’으로 불리우는 4·3의 성격규명과 이름 찾기 역시 더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다.

이러한 난제 해결은 4·3의 정확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통해 4·3을 역사의 교훈으로 삼고 평화와 인권의 역사로 삼기 위한 과정이기도 하다.

△ ‘다시 시작…4·3세계화 원년으로’

그러나 4·3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은 그 어느때보다 불안하다. 4·3위원회 폐지가 추진된데 이어 정부의 4·3사업 추진 의지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4·3 유족 및 도민들의 제60주년 4·3위령제 참석 청원을 끝내 거절했다. 도민들은 이 대통령이 참석해 4·3위원회 폐지 추진 등에 따른 도민 우려를 덜어내고 4·3영령을 위로, 향후 4·3진상규명, 명예회복 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을 약속하길 바랬던 것이다.

한승수 국무총리가 참석했지만 유족과 도민들의 바람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했다. 기존 위령제와 달리 대통령 명의가 아닌 국무총리 명의의 추도사라는 점, 많은 부분을 4·3이 아닌 특별자치도에 할애하면서 4·3을 비껴나갔다는 점 등 적지 않은 부분에서 아쉬움이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60주년 위령제를 전후로 한 보수우익세력의 4·3 역사왜곡은 4·3 60주년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처럼 4·3 전국화, 세계화의 원년을 선포한 즈음, 4·3완전해결에 적지 않은 악재가 등장하면서 다시 한번 온 도민의 역량을 총결집, 4·3 난제를 풀어가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역사학자 및 인권평화 운동가들은 4·3 정명 찾기를 통해 4·3완전해결 디딤돌을 마련하고 평화와 인권의 역사로 나아가야 한다며 다시 시작하는 4·3 60주년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천주교 등 종교계 역시 “역사를 거꾸로 거스르는 역사왜곡 시도는 중단돼야 한다”며 보수우익세력의 역사왜곡은 대응할 가치 없음을 지적, 평화의 섬으로서 제주 발전을 촉구하고 있다. 박미라 기자 mrpark@jemin.com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