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을 '제주4·3항쟁과 대수난'으로 명명할 때 사건의 총체적 성격에 가장 근접하며, 이를 국제적으로 공유해나가기 위해서는 4·3인권상 등이 제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4·3 60주년 기념 제13차 제주미래전략산업연구회 정책토론회가 24일 오후 4시 제주4·3평화기념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가운데 고창훈 제주대 교수는 '제주4·3항쟁과 대수난의 인권과 평화의 세계화를 위한 8가지 정책과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고 교수는 이날 발제를 통해 "4·3항쟁에는 세가지 의미가 동시에 내포됐다"며 "▲사회주의적인 사회 혹은 공동체주의 사회를 지향했던 4·3항쟁의 이상주의적 측면 ▲무고한 양민과 도민의 학살, 연좌제로 이어지는 제주 대수난의 통곡과 슬픔 ▲대수난과 대침묵을 넘어 세계평화의섬의 씨앗이 되고 화해와 상생의 관용성 철학으로 자라나야 한다는 점 등에서 4·3정명은 '제주4·3항쟁과 민중대수난'이 가장 근접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고 교수는 세계평화의섬으로 제주도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제주4·3항쟁과 대수난'의 역사적 의미를 국제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4·3인권상, 섬평화문화상 등 제주평화상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4·3과 세계평화의 섬·국제갈등문제해결 등을 다룰 외국대학교 등과의 협력, 국제평화대학교와 대학원의 서귀포 지역 개설, 2008년 세계섬영화제 개최, 4·3평화공원과 송악산국제평화가든 중심의 국제평화관광투어 활성화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고 교수는 또 제주4·3의 미군정 책임을 규명하고 미국정부의 공식사과를 받아내기 위한 4·3영문책자 발간, 국가공권력의 폐해에 합당한 개인배상과 유가족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 또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