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피플] 제주도 외국어 상용화정책

난무하는 외국어 상용·공용화..도민들은 거부감만

제주특별자치도가 이달 외국어 상용화 세부실천계획을 수립, 본격적인 정책 추진에 나서고 있으나 도민들의 반응은 차갑다. 잇단 영어 공용화, 몰입교육 논란 속 제주도의 외국어 상용화 정책이 도민 공감대 없이 휩쓸리듯 추진되면서 도민들의 거부감만 불러일으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9일 제주국제자유도시에 걸맞은 외국어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20년까지 국제자유도시에 걸맞은 외국어 인프라 환경을 조성하고 도내 외국어 상용인력을 현재 5000명에서 6만명으로 늘리는 외국어 상용화 정책 세부실천계획을 발표했다. 외국어 사용환경조성, 공공부문 선도, 공교육, 도민역량강화 등 4개분야 11개사업 47개 실천과제를 선정했으며, 2020년까지 영어교육도시 7850억원을 포함한 8570억원을 투입한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영어몰입교육, 영어 공용화 논란이 적지 않았던 가운데 제주도가 느닷없이 '외국어 상용화' 정책을 추진, 광풍처럼 몰아치는 외국어 강화 정책에 도민들은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고 있다.

사회적 공감대 없이 진행되다보니 도민들은  '상용화', '공용화' 개념부터 혼란을 겪고 있는데다 일방통행식으로 강죄되는 '영어 중요성'에 오히려 거부감마저 보이고 있다.

도민 공감대 부족은 외국어 상용화 세부실천계획에 대한 불신마저 낳고 있다.

2020년 도내 외국어 상용인력을 6만명까지 양성해야 하는 당위성을 비롯해 공공부문의 외국어 우수인력 양성(2013년 전체 공무원 20%), 도민역량 강화 정책 실효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상용인력 6만명 양성 계획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2020년 성인이 되는 현행 초중등학생 5만명, 현재 상용인력 5000명을 포함한 것으로, 외국어 상용인력 양성이라는 표현이 다소 무색하다.  

정책의 초점이 흐릿, 실효성도 한계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이번 외국어 상용화 정책이 제주특성을 감안, 영어 뿐만 아니라 제주 특성을 감안, 일어, 중국어를 포함했다고 밝히고 있으나 언어별 구분없이 수립됐으며 대부분 영어 경쟁력 강화에 치중돼있어 혼란을 주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