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피플] 제주도 외국어상용화 정책 <하>

일방통행식 외국어 상용화 정책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연속성있는 수요자 중심의 외국어 인프라 확충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외국어 정책 수립에 앞서 개최한 정책 세미나에서 토론자들은 외국인이 불편없는 국제자유도시 조성에는 공감하면서도 행정 중심의 일방적인 외국어 상용화 추진은 경계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모았다.

토론자들은 외국어 상용화 정책은 자발성, 참여성, 단계성, 장기성을 전제로 추진돼야 하며, 행정은 '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스스로 학습하려는 사람'을 대상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고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한 강력한 공교육 체질 강화, 평생교육시스템 구축 등이 선행되지 않는 한 외국어 상용인력 6만명 양성은 현실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주도의 외국어 상용화 계획에 따르면 공교육 강화는 교육청의 몫으로 온전히 미뤄놓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도민을 상대로 한 영어 교육 프로그램만 수립된 실정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외국어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두루뭉술하게 계획을 수립할 것이 아니라 내·외부적인 시장분석이 선행될때 수요자인 도민 입맛에 맞는 현실적인 정책 수립이 가능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산업부문, 연령, 언어, 직업 등 다양한 요소를 감안, 객관적인 수급시장 분석이 선행될때 수요자인 도민의 참여를 이끌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될 수 있다. 외국어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산업부문별 문제점과 개선책 수립, 현존하는 외국어 상용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숨어있는 외국어 상용인력을 발굴해 체계적인 활용시스템 구축 등이 오히려 현실적이라는 지적이다.

외국어 상용화에 도민들이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은 연속성 없는 정책도 한 몫하고 있다. 국제자유도시보완계획만 하더라도 외국어 인프라 확충 계획이 포함됐지만 정작 실행에는 지지부진, 제주도의 외국어 상용화 정책 역시 '전시행정' 아니냐는 불신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의 영어 경쟁력 강화 정책 등에 휩쓸려 체계적인 준비 없이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 만들어내는 단기정책이 아닌 장기적이고 연속성있는 정책 추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