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경관 망치는 불법 광고물 난무, 전문 조직․인력 태부족

옥외 광고물은 도시 경관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하지만 불법 광고물이 난립, 도시 경관을 망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기관은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제주형 광고물 모델을 만들면서 주민들의 동참을 유도, 세계자연유산에 걸맞는 도시 경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시 경관 망치는 광고물=제주시에 따르면 간판 등 불법 고정광고물은 2006년 463건에서 지난해 197건으로 줄어들었으나 올 5월까지 819건으로 크게 늘었다. 현수막 등 불법 유동광고물은 2006년 6만9080건, 지난해 9만9466건에 이어 올 5월까지 4만9179건에 이른다.

제주시가 불법 광고물과의 전쟁에 나서고 있으나 철거된 불법 광고물은 다음날 버젓이 도로변에 설치되는 등 ‘철거와 정비’의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광고물은 ‘소비자의 눈에 잘 띠면 좋다’는 인식으로 무조건 크고 원색 위주로 설치되는 등 형태·소재가 주위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단조롭고 무질서한 형태를 띠고 있다. 또 돌출 간판, 입간판, 현수막 등 각종 광고물을 동시에 내걸어 도시를 어지럽게 하고 있다. ‘시각 공해의 바다’란 비판이 나오고 있는 대목이다.

이처럼 제주의 도시 풍경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지 않는 획일성을 띠고 있어 세계자연유산의 이미지를 떨어뜨리고 있다.

△광고물의 공공디자인 열풍=시민·관광객들이 간판 풍경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간판은 도시 풍경을 지배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이에 따라 전국이 쾌적한 광고물 관리를 통한 도시 브랜드 향상에 뜨겁다.

서울 강남구는 광고물 시범사업팀(3명)과 관리·정비팀(13명)을 각각 구성한 데 이어 경기도 파주시는 광고물 관리·정비팀(7명)을 비롯해 미관질서팀(32명)을 운영중이다.

서울시는 지난 3월 옥외광고물에 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확정했고 용인시는 옥외광고물 표시 제한구역을 지정하는 등 제도적인 장치를 하나둘 마련하고 있다. 충북도와 충주대학교가 광고물을 포함한 공공디자인 업무 협약을 맺는 등 전국 자치단체들의 발길이 빨라지고 있다.

이에 비해 제주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행정시에 도시경관담당이 신설됐으나 인원은 3명에 그치고 있다. 4만건에 달하는 광고물의 허가에서부터 관리까지 도맡아 처리하고 있어 공공디자인 기획은 엄두도 못낼 지경이다.

이에 따라 세계자연유산에 걸맞는 도시 브랜드를 조성·관리하기 위해서는 조직·인력을 확충하고 유사 기능을 통·폐합, 업무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광고물을 만들기 위한 전문가와 건물주의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제주시 간부공무원들은 지난 13일 저녁 절물휴양림에서 ‘품격높은 도시·품위있는 사회’워크숍을 갖고 도시경관을 비롯한 환경·주차·건설 등 분야별 발전방을 모색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