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6개 시·도교육감들로 구성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공정택 서울특별시교육감)가 열렸던 지난 5일 제주시 모 호텔로비. 몇명의 도교육청 관계자들이 로비에서 서성대고 있었다. 이유인즉, 회의가 비공개로 치러져 외부인 출입을 제한했다는 거였다.
 
"그럼, 협의회 안건이 무엇이냐"고 묻는 기자의 질문에 "우리도 안건이 뭔지 모른다. 협의회가 안건을 사전에 공개하지 않고 있어 우리도 궁금할 따름"이라는 답이 도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날아왔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제주에서 열린다는 소식을 접한 지역언론들과 도교육청 등은 아침부터 회의안건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쏟았다. 근현대사 교과서, 교원평가, 교육세 등 최근 민감한 교육이슈들 때문에 이번 협의회 안건에 대해서도 기자들의 '촉수'는 예민할 때로 예민했다.

하지만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협의회 안건에 대해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며, 교육계 및 도민의 '알권리'를 철저히 막았다.

행자부 등 타 부처가 시·도단체장협의회때 회의안건을 사전에 공개하는 경우와는 '거꾸로 '인 형국이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전국의 교육수장들이 모여 교육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합의된 안건을 교과부 등 정부에 건의하는 기구로서 1996년 임의단체로 출발했고, 지난해 2월에는 법정기구화하면서 공정택 서울시교육감이 초대 회장이 됐다.

협의회 안건의 비공개 원칙에 대해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관계자는 "담당자 입장에서 회의 내용상 민감한 부분이 없지 않다.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워낙 높아 사전에 안건이 공개되면 어려운 점이 있다"고 밝혔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관계자의 이와같은 입장을 들으며, 가장 공개적이고, 개방적이어야 할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밀실회의로 이뤄지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일인가란 생각에 마음이 씁쓸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밀실회의', '안건 비공개 원칙' 만 고집한다면 한국 교육은 '오리무중'인 교육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