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영상산업 중간 보고회 <하> 무엇을 보완해야 하나

예산 확보 계획 없이 시설 인프라 구축에 치우쳐…맹목적 정부 따라가기 지적도
'지역 실정'무시, "특정 시설 건립 위한 형식적 용역 불과" 기대보다 우려 많아

영화진흥위원회가 제시한 콘텐츠산업 집중육성안은 가능성에 대한 장밋빛 청사진에도 불구,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발표안에서 촬영스튜디오 설립, 레지던스(숙박·사무 공간) 마련 등 영화 촬영팀의 불편을 최소화 할 장치 말고는 경쟁력있는 안이 없어 이를 위한 형식적 용역이 아니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 열린 중간 보고회에서 영진위는  '콘텐츠산업 메카'를 제주 영상산업 비전으로 잡고 국내 콘텐츠기획개발의 10%를 제주에서 창작토록 한다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했다.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계획으로 △외부창작인력을 위한 레지던스 지원사업과  △가공되기전 콘텐츠를 판매하는 포맷 개발 사업 △창작인력개발을 위한 특화아카데미 설립 △영상기금 500억 조성 △100억원 이상 규모의 영상투자조합 조성 등 콘텐츠 산업을 위한 인력·자본·시설 인프라 조성안 등이 제시됐다.

그러나 이날 보고회에 참가한 토론자 40여명과 발표안을 접한 도내 영상관계자들은 다양한 영상산업 분야 중 제주가 콘텐츠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영진위의 제안이 예산 확보 등 현실성이 희박한데다 합목적성이 부족하다는 데 대체로 의견을 모았다.

토론자로 참석한 홍병기 중앙일보 차장은 "문화콘텐츠 육성 안인지 한 지역의 영상산업 개발 안인지 헷갈리는 데다 사실상 현실화하기 어려운 계획"이라며 "제주형 영상산업의 성격을 정립하고 길 찾기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제주가 '어떤 영상 분야로 돈을 벌 것인가' 틀을 짜는 자리인 만큼 투자에 앞서 제주의 잠재력과 국내 영상산업 시장 추이 등을 감안, 좀 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동만 한라대학 교수도 "콘텐츠 육성에 초점 둔 현 정부 시책에 맞춘 제안인 듯 보인다"며 "기존 제주도가 가져가고 있는 영상산업 발전 계획과 어떤 유기적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한 영상 관계자는 "영화 전·후반작업을 조용한 곳에서 하고 싶어 하는 영화인들이 많은 만큼 휴양지인 제주가 작가를 길러내고 연구를 지원하는 인큐베이터 역할에 무게를 실은 콘텐츠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적합해 보인다"면서도 "계획은 화려하지만 실현 가능할 지는 의문"이라고 반신반의했다.

한 관계자는 "콘텐츠라는 새로운 산업육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용역에 제안된 계획을 추진하는데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며 "콘텐츠산업과 제주간 뚜렷한 합목적성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것은 지자체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부실 용역이거나 촬영스튜디오 건립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형식적으로 의뢰한 용역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