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61주년 기획 : 끝나지 않은 진상규명의 역사 3. 4·3평화재단

4·3평화재단은 향후 4·3의 미래를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로 막중한 임무를 안고 있다.
4·3평화공원 관리·운용을 비롯한 추가진상조사, 유족복지사업 및 4·3추념사업, 4·3문예교육사업, 국제평화교류사업 등 4·3관련 사업을 총망라하고 있다.

하지만 4·3평화재단은 지난해 출범과정에서 4·3진상규명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4·3관련 단체들과 제주도가 초대 이사장 선출을 놓고 대립해 추가진상조사 등을 통한 제주4·3의 진상규명사업에는 한 발짝도 다가서지 못했다.

최근 4·3평화재단측이 상임이사를 내정하고, 4·3단체들을 접촉하는 등 4·3평화재단 정상화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재단 사무처의 민간인 참여 확대, 추가 진상조사, 평화재단 기금조성방안 로드맵 마련 등 정상화에는 과제가 산적해 있다.

   
 
   
 
△4·3사업 총망라

올해 4·3 61주년을 맞고 있으나, 4·3의 완전해결까지는 4·3추가진상조사, 유족지원, 후유장애인 지원, 유해발굴, 국가추념일 지정 등 많은 난제들을 안고 있다.

4·3의 성격을 규정하는 정명 정립으로 극우수구세력들의 드센 4·3역사 왜곡·망언을 잠재우기 위한 발걸음도 재촉해야 한다.

4·3을 둘러싼 각종 과제와 업무추진의 중심에는 4·3평화재단이 있다. 4·3평화재단은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 시행령에 의거, 제주4·3평화기념관 및 평화공원 운영과 관리, 4·3사건의 추가 진상조사, 4·3사건의 추모사업 및 유족복지사업, 4·3문예교육사업, 이외에 재단정관에 정하는 사업 등으로 규정, 사실상 4·3을 총망라하는 사업을 평화재단이 맡도록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4·3평화재단은 향후 제주를 한국뿐만아니라 동북아 평화중심지로 각인시킬 평화인권 교육의 장이자, 국제평화교류를 통한 평화의 섬 제주를 알릴 구심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4·3평화재단, 시험대 올랐다

4·3평화재단이 지난해 설립됐으나, 예산문제 등의 이유로 ‘반쪽 운영’되는 등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4·3평화재단은 정부가 당초 오는 2012년까지 500억원의 기금을 출연키로 약속함에 따라 그 이자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출연을 거부하고 기금 20억원만 지원, 4·3평화재단 정상화를 염원하는 제주도민들을 실망케 했다. 정부가 올해도 기금 20억원만 지원하자, 제주도가 5억원을 출연했다.

기금조성이 계획대로 되지 않자, 4·3평화재단이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갖춰야 할 사무처 및 연구부, 사업부 등 조직 구상안 논의도 제자리만 맴도는 형국이다.

초대 이사장 선출을 놓고 4·3평화재단 설립 발기인으로 참여한 4·3단체들과 제주도간 대립으로 첫 출발부터 홍역을 치렀다.

다행히 4·3평화재단 상임이사가 내정된 이후 평화재단측이 적극적으로 4·3단체들과 접촉을 시도, 4·3단체들 61주년 4·3위령제에 참여키로 결정하는 등 분위기가 화해모드로 전환되면서 요원했던 4·3평화재단 정상화가 급물살을 예고하고 있다.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4·3평화재단에 역할 주문도 잇따르고 있다. 신관홍 의원은 “제주도가 관련 예산을 일부 지원하면서 사무국을 조기에 구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4·3평화재단 사무국과 4·3사업소가 연계, 4·3사업을 추진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사업소 업무를 사무국으로 넘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창식 의원은 “4·3 61주기 기념식까지 새 이사장이 선임되지 않으면 4·3평화재단 파행운영이 장기화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무국을 조기에 정상화시키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4·3평화재단 관계자는 “4·3평화재단 발전방안용역을 이달 말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발전방안용역에는 조직, 4·3평화공원 활성화방안, 기금모금, 수익사업, 재단사업 등이 내용으로 포함된다. 용역결과에 따라 4·3평화재단을 명실상부한 민·관 협력형의 모델을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