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61주년 기획 : 끝나지 않은 진상규명의 역사4. 4·3사업들 ①제주연구소와 학술조사사업

   
 
   
 

4·3의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 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제주역사발전을 견인하는 대표적인 분야가 4·3학술연구조사사업이다. 그 중심에 사단법인 제주4·3연구소가 있다. 제주4·3연구소는 제주사회의 민주화·민족분단해소의 실마리로서 4·3문제를 접근, 제주도를 세계 속의 ‘평화와 인권의 땅’으로 일구는데 힘을 아끼지 않았다. 4·3평화재단 설립이후, 4·3연구 및 기념사업 등이 연구소에서 재단의 역할로 넘어가는 등 4·3의 제도적 해결이 본격화하자 4·3연구소 본연의 학술연구단체 및 NGO로 돌아가자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는 4·3연구소의 화두가 “처음으로 가자”인 것은 연구소 스스로 자성의 반영이다.

△진상규명의 대장정

지난 1989년 창립된 제주4·3연구소(소장 박찬식)은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현대사의 주요 사건인 4·3에 대한 구술증언채록에 나섰다. 이는 한국에서 현대사 구술조사의 선구적인 움직임이었다.

 4·3연구소는 1989년 「이제사 말햄수다」2권의 구술증언록 발간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 ‘4·3 천인 증언채록 사업’에 이르기까지 한국현대사 구술증언채록의 질적 발전과 양적 축적을 이뤄왔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수행된 ‘4·3 천인 증언채록 사업’은 국비·지방비를 지원받아 행해진 공공사업으로서, 총 1028명의 구술채록을 마쳤다.

 특히 2003년과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일본 현지에 조사팀을 파견해 재일제주인에 대한 구술증언채록도 실시한 바 있다.

 제주4·3연구소는 창립이후, 학술연구 및 세미나, 4·3자료발굴, 유물·유적지 발굴, 4·3희생자 유해발굴, 4·3역사기행 및 역사교실 운영, 추모 및 대외사업, 국제교류사업 등을 펼쳐왔다.

 4·3역사기행인 경우 1989년 제1회 4·3유적지순례를 시작으로, 수시로 4·3역사기행을 실시해 유적지 및 역사현장을 도내외 시민, 학생들에게 소개했다.

 추모 및 대외사업인 경우 1989년 처음으로 제주4·3연구소를 포함한 도내 11개 민주단체가 공동으로 ‘사월제 공동준비위원회’를 결성해 ‘제41주기 4·3추모제’를 개최하기도 했다.

 4·3연구소는 2005년부터 4·3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사업의 일환으로 유해발굴에 돌입, 2006년부터 오는 2010년까지 총 43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제주도내에 산재한 4·3당시 학살·암매장 추정지역(별도봉 일본군 진지동굴 등 제주시 화북동 일대 5곳, 옛 정뜨르 비행장 인근, 제주시 연동 도령마루 등 추가조사된 학살·암매장 지역)에 대한 단계별 발굴작업을 추진 중에 있다.

 △“창립 20주년, 초심으로 돌아가자”

 하지만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 시행령에 의거, 4·3추가진상조사, 4·3추모사업 등이 4·3평화재단으로 위임되면서 4·3연구소 사업 축소가 불가피해졌다.

 4·3의 제도적 해결이 본격화되고 있는 한편 극우수구세력들의 4·3역사 왜곡·망언도 세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4·3연구소도 본연의 NGO기능과 연구단체기능을 살리는 단체로 거듭나기 위한 대장정에 돌입하고 있다.

 4·3연구소는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연구소 조직완비, 연구인력 확충, 지역현대사 구술사 자료관 준비, 문화콘텐츠 개발 및 대중화 등 많은 계획을 품고 있다.

 박찬식 소장은 “제주4·3연구소는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한국현대사와 4·3의 기억을 담은 기록자료를 수집·보존·연구·이용·제공의 활동을 하는 전문기관으로 정착하겠다”면서 “ 앞으로 한국의 지역현대사 연구의 중심기관으로서 연구기간 구축, 연구기반 확충 및 위상 강화로 지역과 국가를 잇는 현대사 연구의 중심지가 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