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4·3문화아카데미 첫 강의서 서중석 교수 주장

   
 
  ▲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  
 
“4·3 역사 왜곡은 도민 아닌 국민을 기만한 행위. 그러나 국민들은 4·3을 잘 모를뿐더러 오히려 그마저도 왜곡된 내용으로 기억하고 있을지 모른다.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밖으로 나가 4·3을 알리는 일이다”

4일 4·3평화재단이 주최한 4·3문화아카데미 첫 강의가 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 가운데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위원)가 이 같이 주장했다.

이날 ‘한국 현대사에서 4·3의 위치’ 주제 강의에서 서 교수는 “4·3은 신라시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건 중 단일지역 최대 규모의 학살사건이면서 미군정의 실정(失政), 극우 세력의 횡포, 이를 견디지 못한 민중들의 분노 등 당시 남한 사회의 정치적 모순이 가장 잘 응집된 사건이었다”고 설명한 뒤 “때문에 4·3은 제주만의 사건이 아닌 한국 현대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코드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때문에 4·3 왜곡은 도민 아닌 국민 전체를 기만하는 행위이지만 제주 밖에서는 4·3을 거의 모르고 있다”고 우려한 뒤 “4·3을 경험한 제주를 거점으로 인권·평화·공생의 개념이 퍼져 나가도록 4·3국민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서 교수는 4·3국민화의 일환으로 4·3의 학문적 연구를 당부했다. 그는 “1987년 민주화 항쟁이후 4·3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은 있어왔지만 이는 진상규명이나 희생자 명예회복에 초점 맞춰졌을 뿐 학문적 접근은 없었다”고 말한 뒤 “특히 4·3이 항쟁이었음을 뒷받침하기 위한 증언·증거 수집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이어 서 교수는 “해방, 전쟁, 독재 등으로 희생이 뒤따랐던 한국 현대사에서 과거사 정리는 내부갈등을 해결, 사회의 화합을 이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전제한 뒤 “때문에 앞으로도 4·3을 비롯한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여기에 4·3평화기념관과 4·3평화재단의 책임이 실려 있다”고 말했다.             사진·글 문정임 기자 mungdang@hanmail.net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