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근식 교수 "구축 자료 토대로 4·3 알리기, 평화의섬 내실화" 주장

   
 
   
 
제주4·3평화재단과 제주4·3연구소간 역할 분담이 모호, 4·3연구소가 새로운 방향 찾기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새로운 방향으로는 이미 구축된 자료 및 이를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 등 4·3 알리기와 평화의 섬 내실화가 제시됐다.

제주4·3연구소 창립 20주년 기념 '4·3운동을 바라보는 안팎의 시선' 주제 세미나가 15일 제주시 파라다이스회관에서 열린 가운데 '안과 밖, NGO가 본 4·3운동' 발제를 통해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정근식 교수  
 
정근식 서울대 교수는 '밖에서 본 4·3운동'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4·3운동이 직면한 주요 문제 중 하나로 4·3연구소와 4·3평화재단 간 중복된 업무 분담을 꼽았다.

정교수는 "추가진상조사와 추모사업, 문화학술사업 등 기존 4·3연구소가 수행한 기능의 대부분이 지난해 출범한 4·3평화재단의 업무와 사실상 중복돼, 연구소가 4·3평화재단의 하청기구화 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4·3연구소가 축적해온 경험의 이론화와 국제화를 제안했다.

정교수는 "평화가 제주의 공동체적 지향 아이템으로 자리했지만 이는 제주라는 곳에 오래전부터 자연스럽고 소극적으로 형성된 가치일 뿐, 관념적이고 사회적으로 물질화되기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한 뒤 "4·3을 평화의 이념과 맞물려 구체적으로 풀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염미경 제주대 교수는 "4·3연구소가 그동안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4·3 관련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4·3을 한국현대사 속에서 이해하도록 교육 지원 서비스 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염 교수는 또 "4·3연구소의 활동을 비롯한 일련의 4·3운동이 도민과 함께 이뤄졌다고 평가하기 어렵다"며 "이제는 이러한 교육 등을 통해 4·3에 대한 새로운 문화운동을 다시 시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박경훈 소장.  
 
이와함께 이날 세미나에서는 4·3운동이 4·3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는 쪽으로 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박경훈 제주전통문화연구소장은 '안에서 본 4·3운동' 의 주제발제를 통해 "'화해와상생'은 악수가 불가능한 모토"라며 "죽인 자는 반성이 없는 데 죽은 자들이 나서서 용서하는 이러한 역사청산작업이 도대체 후대에 무슨 교훈을 남길 수 있겠냐"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이어 "그러나 4·3단체들은 오히려 4·3과 관련한 모든 여정이 끝난 듯 행동하고 있다"며 "처벌의 도덕적 효과는 사실상 재발방지를 위한 것이고, 이는 우리가 4·3운동에 나서는 취지와도 부합된다"고 강조했다.<문정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