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62주기 추념 제17회 4·3문화예술축선 3~4일 행사 풍성
4월굿-백조일손, 4·3문학기행, 의식주체험, 청소년 평화한마당’

비극적 역사를 바로 이해하고 ‘섬’ 너머와 다음 세대에 전하는 작업은 소리없이, 그러나 강하게 이뤄졌다.

‘침묵을 흔들어 평화의 너울로’ 4·3을 알리고자 한 제17회 4·3예술문화축전의 첫 주말은 소리 없는 강한 울림으로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았다.

# “하나가 되어사 허는 거라”

   
 
  ▲ 사월굿-백조일손  
 
4·3의 상처가 아직 아픔으로 남아 있던 1950년, 한국전쟁은 제주 사람들의 가슴에 큰 생채기를 남겼다. 4·3에 자식을 잃고, 예비검속이란 이름에 손자를 잃은 동하 할머니의 한 맺힌 속울음이 3일 도문예회관 소극장을 흔들었다.

놀이패 한라산의 1950년 섯알오름사건 60주년 특별공연 ‘사월굿-백조일손’이 3일 오후 7시, 4일 오후4시와 7시 세 차례 제주와 만났다.

음력 칠월칠석날 돌아오지 못한 길을 나선 사람들은 신고 있던 신발을 흔적처럼 남겼다. 극 처음 약속했던 것처럼 관객들은 한림과 대정, 안덕, 중문 등 섯알오름에서 숨져간 사람들의 오늘로 무대와 함께 했다.

“조상이 다른 백 하루방의 자손들이 한날 한시 한곳에서 죽어 뼈가 엉키어 하나가 되었으니 한 자손으로 위하면 되지 않겠냐”는 배우의 대사에 객석 여기저기 눈물이 번졌다.

   
 
  ▲ 사월굿-백조일손 중  
 
“…스산한 새벽길/신사동산 넘을 때 그제 알았네/송악산 너머 절벽/흰국화 대신 검은 고무신/즈려밟고 오소서”(‘섯알오름의 한’ 중,최상돈 글·곡).

배우의 입을 통해서, 또 객석이 함께 부른 노래가 사월굿에 젖어 들 무렵 극은 그날을 기억하고 상생을 기원하는 비석을 세우는 마지막 장면으로 다가간다.

극 속 흔적이자 미래인 비석의 역할은 관객이 대신했다. 아무런 준비 없이 마당극 속으로 들어간 관객들 역시 진지하게 역할에 임한다. “가족 중에 경찰이나 군인이 있는 사람은 맘 상할지 모르니 먼저 집에 가라”는 말이 툭하고 전져진다. 한껏 희극화한 경찰과 군인은 좀더 가벼운 마음으로 그날에 다가가는 감초 역할을 톡톡히 했다.

“감상문을 써야 한다”는 한 중학생과 함께 하고도 부담 없이 그날을 기억할 수 있었던 무대였다.

   
 
  ▲ <사월굿-백조일손> 중  
 

#해원의 바다를 건너 상생의 들판으로

   
 
  ▲ 제주작가회의 43문학기행  
 
하나의 커다란 전시장으로 바뀐 제주4·3평화공원 앞에 한 무리의 사람들이 발을 멈췄다.

4일 한국작가회의제주도지회(이하 제주작가회의)가 마련한 4·3문학기행은 이 곳에서 시작됐다.

제주작가회의 소속 작가들이 새로 풀어낸 4·3 소재 60여점과 소설가 현기영씨의 ‘쇠와 살’ 등 이미 잘 알려진 4·3작품들이 야외 공간에 내걸렸다.

오는 12월 20일까지 자리를 지킬 작품들에서 문학기행 참가자들은 쉽게 발을 떼지 못했다.

대전시 동구 망월동에서 찾은 ‘오라방’에 대한 애틋함이 “…제발 와줍써/한번만 보게 마씀/한번만 보게 마씀”(김문택작 ‘흙 한줌’ 중) 귀에 밟힌다. “…죽은 어미 가슴팍 헤집는 아기/어둠이 고랑을 삼킬 때까지…/새벽에서 어둑어둑 해넘이까지/가슴팍 헤집던 그 아기…”(허영선 작 ‘용강마을’중). 작가들은 그 날의 아픔은 현재 진행형임을 글자를 통해 풀어냈다.

“4·3의 아픔은 제주어가 아니면 제대로 풀어내기 힘들다”는 한 참가자의 말에 이내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렇게 ‘해원의 바다’를 건넌 기행단은 소설가 현기영씨와 함께 ‘상생의 들판’으로 향했다. 자리왓과 고지우영, 빌레못굴 등 4·3의 아픔이 남아있는 현장을 둘러보고 죽임이 아닌 살림의 문학에 대한 진지한 토론을 나눴다.

# 청소년평화한마당·의식주체험

   
 
  ▲ 의식주 체험  
 
3일 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앞마당에서 열린 제3회 청소년 평화마당은 청소년들이 직접 꾸리는 무대와 다양한 부대 행사들도 서서히 달궈졌다.

평화의 풍선 날리기와 몽실몽실 비누방울로 평화 그리기 등에는 저학년 이하의 어린이들이, ‘똥깅이’천막극장 등에는 고학년 이상의 청소년들이 모여들었다.

3·4일 같은 장소에 열린 4·3의식주체험 한마당의 참여열기도 뜨거웠다.

   
 
  ▲ 의식주 체험  
 
4·3을 체험했던 어르신들의 현장자문으로 4.3당시 도민들이 죽음을 피해 살았던 함바집과 움집, 트 등이 복원됐고 한 쪽에서는 고구마와 쑥 범벅에 직접 맷돌로 보리 가루를 내고 개떡을 만드는 과정이 재현됐다.

입에 맞지 않아 고개를 흔드는 어린아이들과 달리 중년 이상 참가자들은 맛을 음미하며 옛 생각에 빠졌다.

의 마당에는 갈중이며 당시 경찰의 복장 등이 전시됐고 한지로 갈옷 등을 직접 만들어보는 코너도 운영돼 눈길을 끌었다.

   
 
  ▲ 의식주 체험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