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동취재 2010] ‘주먹구구’ 야외헬스형 생활체육시설 사업
(상)‘설치하고 보자’식 사업

   
 
  ▲ 제주시가 야외헬스형 생활체육시설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주민 편의와 이용실태 등을 파악하지 않고 운동기구를 설치하면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등 예산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권 수습기자  
 
담당부서도 운동기구 설치 장소·수량·비용 등 파악 안 돼
이용 편의·유동인구 고려않고 설치 상당수 장식품 전락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제주시 곳곳에 설치된 야외헬스형 생활체육시설(이하 야외운동기구)이 '중구난방식'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다. 제주시 각각 부서와 읍·면·동별로 제각각 추진되면서 야외운동기구 설치장소는 물론 개수, 사업비 등 기본적인 현황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뚜렷한 설치기준 없고, 이용인구와 유동인구 고려없이 설치돼 주민들의 이용없이 상당수가 장식품으로 전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야외헬스형 생활체육시설 설치 및 관리 등 전반적인 문제점에 대해 2회 걸쳐 연재한다.

△부서별 제각각 기본적 현황조차 파악안 돼

제주시가 추진중인 야외운동기구 조성사업은 도시공원(소공원. 어린이공원 포함)내의 경우 제주시 공원녹지과에서, 산책로 및 공터, 마을운동장 등은 문화체육과에서 각각 담당하고 있다. 또 각 읍·면·동 별로 자체적으로 설치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제주시 공원녹지과의 경우 야외운동기구 시설현황은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도시공원내 55곳에 344개(공원녹지과 184개, 동사무소 등 160개)를 설치, 10억3200만원(공원녹지과: 5억5200만원, 동사무소 등: 4억8000만원)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과는 지난 2004년 조성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산책로 및 공터, 마을운동장 등 119곳에 697개를 설치, 사업비 12억1383만9000원이 투입됐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각 읍·면·동과 부서별로 야외운동기구 조성사업이 제각각 추진되면서 설치과정 당시 운동기구 설치장소와 수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고, 소관업무 조차 불명확한 실정이다.

본지가 야외운동기구 설치사업에 대한 기본자료(설치장소, 개수, 투입예산 등)를 제출을 요청한 후에야 제주시는 현황파악에 나서는 등 평소에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반증했다.

본지에 제출된 자료에서도 문화체육과의 경우 각 읍·면·동에서 설치한 야외운동기구 현황 자료수집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상당수 지역은 설치연도 및 제품생산업체가 누락됐고, 심지어 설치예산도 파악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견됐다.
이처럼 제주시는 야외운동기구 설치사업을 추진하면서 어느 업체로부터 몇 대의 운동기구가 들어왔고, 어느 정도의 사업예산을 투입했는지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 '중구난방식' 설치로 야외운동기구 장식용 전락

제주시는 야외운동기구 조성사업에 있어 각 읍·면·동과 관련 부서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이용이 편리한 곳에 설치하고 있다지만 뚜렷한 설치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야외운동기구들이 차량이 많이 지나는 도로변에 설치해 위험을 야기시키고, 이용인구와 유동인구에 대한 고려없이 인적이 뜸한 곳에 설치되면서 이용도는 떨어지는 등 혈세만 낭비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제주시 화물청사 사거리에서 만난 한 주민은 "이곳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고 싶어도 차량 왕래가 빈번한 도로 옆에 있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위험도 느낀다"고  토로했다.

야외운동기구 설치사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이 접근성과 편의성 등을 고려해 체계적인 설치기준을 마련하고, 체계적 관리측면에서도 설치현황 및 이용실태 등을 파악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야외운동기구는 각각 부서별 및 읍·면·동 자체적으로 추진돼 설치현황 등의 파악이 어렵다"며 "오래전부터 추진돼 오던 사업인만큼 인수인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비롯, 마땅한 장소 선정의 어려움 등의 많은 고충이 있다"고 말했다.     /김용현·김경필·김동은 기자·한권 수습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