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포커스> 귀농·귀촌의 메카 제주, 꿈이 아니다
귀농교육 폭발적 관심·귀농교육생 도외 거주가 절반 넘어
관련 제도 걸음마·지원시책 현실과 괴리…종합대책 필요

   
 
   
 
지난 11일 끝난 제2기 귀농·귀촌교육을 통해 131명이 수료했다. 이번 2기 귀농·귀촌교육에는 당초 145명이 등록했으나 추가로 48명이 등록하면서 전체 등록인원은 193명에 이르렀다.

지난해 40명이 수강한 것을 감안하면 귀농·귀촌 교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귀농·귀촌교육은 지난해 농림수산식품부 지침에 의해 추진했으며 올해 두 번째로 이뤄진 것이다.

올해 교육생의 나이는 40대가 44%, 50대가 27%로 이들 40·50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귀농전 거주지는 도외 거주자가 57%, 도내 거주자가 43% 가량으로 다른 시도에서 제주로 귀농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직업은 회사원이 34%, 자영업이 27%로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이처럼 귀농·귀촌 교육에 폭발적인 관심이 일고 있는 것은 도시 생활을 접고 농촌으로 이주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그만큼 많기 때문이다.

또한 귀농교육을 이수할 경우 농업창업 자금과 주택구입·신축 자금, 주택수리(보조) 자금,귀농컨설팅, 귀농 농업인턴 등 여러 가지 귀농·귀촌 정착 지원자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귀농·귀촌 사업은 아직 시행 초기여서 여러 가지 부족한 면이 많다.

제주특별자치도 귀농인 지원 조례가 지난 4월21일 공포됐으나 조례 시행에 관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규칙은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다.

타 시도 도시지역에서 농촌지역으로 이주하는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제주시와 서귀포시 일부 동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는 사업대상자에서 제외된다.

   
 
   
 
또 제주에서 교육이 이뤄지는 주 교육장이 서귀포시에 위치한 도농업기술원이어서 불편이 많다.

타 시도 교육생은 비행기를 타고 제주공항에 내린후 서귀포로 이동하고 다시 농업기술원을 찾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다.

교육 일정이 8주에 이르고 주 2회 교육이 이뤄지면서 타 시도 교육생이 지출해야 하는 교통비 등 교육비용도 만만치 않다.

제주도 자체적인 귀농 지원 시스템도 없다. 현재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지원하는 제도 이외에 제주의 특성을 반영한 귀농·귀촌 시스템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귀농·귀촌 사업은 100만 인구 실현을 위한 인구유입 정책은 물론 심각한 농촌의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한가지 방법이기도 하다.

귀농·귀촌 관련 수요조사 및 정책수립에 따른 용역조사후 종합 지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