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14대 확보 불과 현행 기준에 턱없이 부족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등 해결 과제 산적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특별교통수단(휠체어 리프트 장착 차량)이 올 하반기에 처음으로 도입될 예정이지만,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2006년 4월 전국 최초로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에 관한 조례가 제정된 지 4년 넘게 제자리 걸음만 하던 특별교통수단이 오는 10월말부터 시범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우선적으로 제주시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교통수단 차량 5대를 도입하고, 내년에는 10대를 추가로 구입해 운행지역을 서귀포시 지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같은 특별교통수단 차량 대수는 도내 교통약자 16만여명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행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르면 인구 100만 이상의 자치단체인 경우 특별교통수단 80대를, 30만 이상∼100만 미만인 지역은 50대를, 10만∼30만 미만인 지역은 20대를 각각 보유토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인 경우 인구 수에 따라 50대를 확보해야 하지만 기존 도내 장애인 관련 단체들이 운영하고 있는 휠체어 리프트 장착 차량 9대와 연내 구입이 확정된 5대 등 모두 14대에 불과, 현행 기준의 1/3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는 지난해까지 특별교통수단 차량 29대를 확보할 계획이었지만, 올해까지 겨우 5대 도입에 그치고 있어 향후 기준에 맞는 50대 도입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특별교통수단 차량 1대 가격이 4000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45대를 추가 확보하기 위해서는 18억원이 투입돼야 하고, 차량 1대당 연간 운영비가 약 40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연간 20억원이라는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등 재정 부담이 커 정책적 의지가 없이는 빠른 시간 내에 기준을 맞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특별교통수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도입되는 특별교통수단 차량과 기존 장애인 관련 단체들이 운영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착 차량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도 필요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특별교통수단 50대를 확보할 예정이지만, 막대한 예산이 필요해 재정여건에 맞게 단계적으로 추가 도입할 계획"이라며 "또한 특별교통수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이동지원 센터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