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희 제주대 교수 4·3 62주년 기념 심포지엄서 주장
피해 중심의 구술·가해자 함구 등 한계

제주4·3의 세대교체를 위해 '주관성 개입'이라는 구술자료의 한계를 넘어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희생자가 말할 수 있는' 자유로운 말하기 환경 구축과 '감추기'와 '미화화기'를 넘어 사료로서의 가치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보태졌다.

4·3 62주년 기념 '기억의 구술과 역사-4·3의 경험과 재일제주인, 그리고 현대사'심포지엄 둘째날인 9일 김은희 제주대 교수는 4·3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 4·3 1000인 증언채록사업 결과를 근거로 입을 뗐다.

지난 2004~2008년 진행된 증언채록 사업 대상자 1028명 중 70대 이상만 921명으로 이중 농업에 종사하는 이가 361명으로 가장 많았고 △학생 236명 △주부 140명 △무직 125명으로 파악됐다. 상대적으로 경찰 43명, 군인 10명 등 '희생자'의 경계를 넘는데 한계를 드러냈다.

진실 캐기에 주력했던 이전의 자료 조사와 달리 증언채록사업은 공개를 원칙으로 '나만의 4·3'을 넘어 개인 역사 닦기(엮기)를 시도했다.

증언 채록에서는 4·3의 개인적 시발점이 각각 다르고 피해 중심의 구술이 주를 이루며 상대적으로 가해자들은 함구로 일관하는 공통점이 나타났다.

또 4·3특별법 이후 '덮고 가자'는 분위기가 확산된데다 보상 기대심리가 무너지면서 증언을 기피하는 현상도 뚜렷했다.

하지만 제주 근·현대 생활사의 수집으로 '아래로부터의 역사'라는 구술사의 특징을  확인했다는 성과도 남겼다.

김 교수는 "구술자료에 주관성이 개입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4·3은 유독 그런 경향이 강하다"며 또 "제주는 특히 지역이 좁고 공동체성이 강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김교수는 그러나 "강렬한 사건에 대해 놀랍도록 정확하게 기억한다는 점에서 왜 그렇게 기억하고 또 그렇게 말을 할까에 대해 당시 사회·정치적 환경을 헤아려 해석할 필요가 있다"며 "증언자들의 앞으로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초자료로 구술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