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진실찾기 그 길을 다시 밟다-양조훈 육필기록] <16> 김익렬 유고록 ①

   
 
  제주4·3평화기념관 '의로운 사람' 코너에 김익렬 연대장의 유고록 원본과 집필할 때 사용했던 만년필과 안경 등이 전시되어 있다.  
 
  
  미군정과 경찰의 실책 은폐하는데 공분
 "가필 안하고 알릴 수 있을 때 발표" 유언
 

김익렬 유고록 ①
4·3 발발 초기 제9연대장을 지냈던 김익렬 장군이 유고록을 남겼다는 소식을 듣고 유족을 만나기 위해 상경한 것은 1989년 8월 초순께였다. 김 장군의 집은 서울 중구 필동 골목길에 자리한 허름한 2층 집이었다.

서울 주재기자 부영주(정경부 차장)와 함께 김 장군의 집을 방문했을 때 장군의 부인(최재선), 아들과 딸, 그리고 사위가 기다리고 있었다. 김 장군의 부인은 첫 아들을 모슬포에서 낳았다면서 제주에서의 생활상을 떠올렸다.

"아이가 설사 나고, 산모인 내가 힘들어하자 사병들이 쌀을 조금 가져 왔어요. 영감이 그걸 알고 당장 돌려보내라고 호통을 치더군요"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낸 김익렬 장군은 1969년 국방대학원장(중장)을 끝으로 군복을 벗었다. 4·3 기록들이 왜곡되고 미군정과 경찰의 실책과 죄상이 은폐되는데 공분을 느껴 1970년대초부터 회고록을 쓰기 시작했다. 제9연대장으로 재직할 당시의 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증인을 자처한 것이다.

김 장군은 이 회고록 때문에 아픔과 시련을 겪었다. 첫번째는 1970년대 중반 중량감있는 제주출신 국회의원에게 회고록의 존재를 알려 발표하려 했으나 일언지하에 거절당했다. 두번째는 제남신문에 연재하려 했으나 이마저 수포로 돌아갔다. 당시 강천종 기자가 직접 김 장군의 유고록을 입수, 발표하려 했지만 공안당국의 제동으로 무산된 것이다.

이어 1980년대초 장창국 장군(육군 대장 예편)이 중앙일보에 '남기고 싶은 이야기'(1984년 「육사졸업생」으로 출간됨)를 연재할 때, 김 장군의 회고록 일부가 건네졌는데, 신문에 발표된 4·3 관련 내용은 김 장군의 회고록과 기존에 나왔던 왜곡 투성이의 자료를 짜깁기한 것이었다.

김 장군은 "김 중령이나 김달삼도 일본 복지산 육군예비사관학교를 나온 일본군 소위였다"는 대목에 분노가 폭발했다. 사실도 아닌 내용을 갖고, 김익렬과 김달삼을 얽으려는 의도가 엿보였기 때문이다. 1948년 김달삼과 벌인 '4·28 평화협상' 때 "연대장이 폭도 두목과 내통했다"는 등의 루머에 시달렸던 기억이 되살아나 김 장군은 가족들에게 단호하게 말했다.

"이 원고가 가필되지 않은 그대로 세상에 알릴 수 있을 때 역사 앞에 밝히되 그 전에는 발표하지 말라"

김 장군은 1988년 12월 영면했으니, 그 말이 유언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나는 그 이야기를 듣고 장군의 원고를 가필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신문에 발표할테니 맡겨달라고 간청했다. 그러나 장군의 부인은 "아직은 시기상조다. 노태우 장군이 대통령을 맡고 있는데, 이 세상을 어떻게 믿겠느냐?"며 오히려 반문했다.

유족들의 생각은 확고했다. 몇차례 간곡한 청을 해도 요지부동이었다. 그래서 떼를 쓰기 시작했다. 그때 내가 말했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장군께 욕이 되어도 할 수 없다. 기존의 자료들은 김익렬 연대장의 평화협상에도 의심을 품고 있다. 명예스럽지 못한 자료들이 난무하고 있다. 김 장군의 유고록을 이 시점에서 발표하지 않으면 우리는 기존 자료를 갖고 신문 연재물을 쓸 수밖에 없다. 저 세상에 계신 장군께서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달라.

이 말을 들은 장군 부인 얼굴에서 동요한 빛이 엿보였다. 장군의 집에 간 시간이 오후 3시께였는데, 오후 6시를 넘기고 있었다. 시간을 벌어야 한다는 생각이 언뜻 스쳤다. 염치 불구하고 저녁이라도 하면서 진지하게 이야기를 하자고 운을 뗐더니 장군 부인이 국수라도 삶겠다면서 자리를 털고 일어났다. 그 사이에 자녀들을 설득했다. 사위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원군을 얻은 것 같았다.

식사를 마친 후 다시 지리한 협상을 계속했다. 조금도 물러서지 않는 우리에게 질렸는지 장군 부인의 입에서 "그럼 양 부장을 믿고 원고를 건넬 테니 모든 책임을 져라!"고 다짐받는 게 아닌가? 날아갈 듯이 기뻤다.
장장 6시간의 설득 끝에 입수된 김익렬 장군의 유고는 200자 원고지 346장이었다. 장군이 만년필로 한 자 한 자 직접 쓴 원고를 건네받자 나도 모르게 "하늘이 돕는구나"는 독백이 흘러나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