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진실찾기 그 길을 다시 밟다-양조훈 육필기록] <17> 김익렬 유고록 ②

 
   
 
  1948년 5월 5일 제주공항에 도착한 딘 장군 일행. 미국에서 찾은 이 사진은 유고록에 기록된대로 정확히 최고수뇌회의 참석자 9명이 한 컷에 모두 들어있어 유고록의 신뢰도를 더욱 높여주고 있다. 왼쪽 두번째부터 딘 장군, 통역관, 유해진 도지사, 맨스필드 중령, 안재홍 민정장관, 송호성 경비대 총사령관, 조병옥 경무부장, 김익렬 중령, 최천 제주경찰감찰청장.  
 

"소련 선전 막으려 '공산 반란' 규정했다"
  평화 해결 강조하는 연대장을 전격 해임

김익렬 유고록 ②
김익렬 장군의 유고록을 들고 신문사에 돌아오자 편집국이 갑자기 들뜬 분위기가 됐다. 원고를 검토한 송상일 편집국장은 4·3 초기 미군정의 토벌정책과 군·경의 대응전략을 파악하는데 결정적인 자료라고 그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편집회의에서 김익렬 유고를 매주 5회씩 연재하기로 결정했다. 1989년 8월 15일 '유언-4·3의 진실'이란 이름으로 첫 회가 발표된 데 이어 그해 9월 23일까지 모두 26회가 연재됐다.

유족들과의 약속대로 친필 원문의 내용을 그대로 실었다. 다만 유족의 요구에 따라 조 아무개와 박 아무개 등 특정인을 심하게 힐난하는 두 문장을 뺐고, 한자를 한글 표기로 고치는 등 기초 교정만 했다. 노인의 육필이라서 문장 하나가 200자 원고지 서너 장을 훌쩍 넘긴 후에야 비로소 마침표가 찍힐 정도로 장문이 많았다. 송 편집국장은 그 긴 문장을 일일이 잘라 단문으로 만드는 등 손수 수정할 정도로 적극성을 보였다.

예상했던대로 유고 연재에 대한 독자들의 반향은 뜨거웠다. 그동안 접할 수 없었던 미군정의 4·3 토벌정책에 대한 고급 정보가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몇 가지 예를 들면 이렇다.

김익렬 연대장은 4·3 발발 원인을 미군정의 감독 부족과 실정으로 빚어진 경찰과 서청 등의 압정에 견디다 못한 민(民)이 들고 일어난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가세한 것으로 판단했다. 미군정으로부터 출동명령을 받았을 때, 제9연대가 '선선무 후토벌' 원칙을 세운 것도 여기에 근거한다.

그는 곧 미군정이 '난처한 입장'에 놓인 것을 알게 됐다. 소련 측이 UN 무대에서 "소련 점령지역 주민들은 평화롭기만 한데 미군 점령지역에서는 미군정의 폭정에 항거하는 주민들이 들고 일어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제주도다"라고 비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정부가 군정장관 딘 장군을 문책하고, 제주도 사태를 조속히 진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또한 소련의 선전을 봉쇄하기 위해서 제주도 사태를 '공산주의자들의 선동에 의한 반란'으로 규정짓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제주도 군정관 맨스필드 중령이 연대장인 자신에게 전한 말이라고 유고록을 통해 증언했다.

이에 놀란 김익렬 연대장은 "그것은 정치적인 차원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표명하고, 자신은 평화적인 해결에 관심을 보인 맨스필드 군정관의 지원 아래 L-5 비행기를 직접 타고 전단을 뿌리는 등 무장대 측과의 평화협상을 우선 추진했다는 것이다.

김익렬은 이 무렵 '또 다른 고통스러운 시련'을 당하고 있었다고 유고록에 적고 있다. 미군 CIC사무실에서 딘 장군의 정치 고문이란 자를 만났는데, 제주 사태를 조속히 진압하지 않으면 미국의 입장이 난처해진다면서 "신속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초토작전"이라고 강조했다는 것이다.

김 연대장이 이를 거부하자, 그 정치 고문은 10만 달러를 주겠다, 미국으로 이민을 알선해주겠다는 등의 회유책을 쓰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런 회유를 물리치고 자신의 소신대로 평화협상을 진행하자 이번에는 경찰의 방해 공작을 맞게 됐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나타난 것이 '5·1 오라리 방화사건'과 '5·3 기습작전'이라고 주장했다.

김익렬 유고는 1948년 5월 5일 딘 장군이 직접 제주도에 와서 주재한 '9인 최고 수뇌회의'에서 절정에 이른다. 갈림길에 선 제주도 사태에 대해 화평이냐, 유혈이냐의 정책 결정을 하는 최고회의였기 때문이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서 평화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던 김익렬 연대장을 조병옥 경무부장이 공산주의자로 몰아붙이면서 육탄전이 벌어졌다. 그리고 다음날 딘 장군은 김익렬 연대장을 전격 해임했다. 그것은 제주도 사태의 강경 진압을 결정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