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제63주년 제주4·3-화해와 상생을 향해
4. 제주사회부터 변화를
장정언 4·3평화재단 이사장

   
 
   
 
제63주년 4·3을 앞둔 지난달 31일 제주 4·3평화공원에는 많은 방문객이 찾고 있었다. 4·3위령제 준비에 여념이 없던 장정언 4·3평화재단 이사장은 4·3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풀어놨다. 특히 장 이사장은 제주사회 내부에서부터 4·3추모 운동을 전개해 줄 것을 제안했다.

△4·3특별법 제정 이후의 성과는.

4·3특별법 제정은 그동안 이념에 덧칠해진 희생자의 명예를 회복하는 길을 제도화했고, 왜곡되고 단편적으로 전해지던 진실을 드러내도록 했다.

이는 곧바로 제주도민의 무고한 희생에 대해 국가최고수반인 대통령이 공식사과로 이어졌고, 제주도민은 이를 감동적으로 받아들이며 일정 정도 맺힌 한을 풀 수 있었다.

4·3특별법은 국가차원에서 오욕의 과거사를 해결하는 모범을 보였고, 이후 다른 분야의 과거사 해결의 바로미터가 됐다.

△보수우익 단체의 4·3특별법 무력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은.

올해에도 보수세력에 의한 4·3관련 소송과 교과서의 4·3내용 삭제 논란 등 4·3의 명예회복을 방해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4·3은 과거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인식과 접근이 필요하다. 시각을 달리하는 보수세력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3국가추념일 지정 등 현안 해결방안.

우선 4·3 국가 추념일 지정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제주 국회의원 3명 등 84명이 지난해 공동 발의한 ‘제주4·3 국가추모일 제정 결의안’은 현재 국회에서 계류중이다.

최근 제주를 방문한 박인주 청와대 사회통합수석이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는 국회 논의 과정을 지켜보자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부정보다는 긍정의 뜻이 많은 담겨 있다.

4·3사건의 과정에서 국가공권력에 의해 무고하게 희생된 도민들에 대한 위로와 추모는 이루어 져야 한다. 정부의 의지를 얻어낼 수 있도록 도민과 도정의 하나가되어 공감대를 이루고, 이를 바탕으로 예산확보를 통해 추가진상조사, 유족복지 사업 등을 추진해야 한다.

△4·3의 전국화, 세계화 방안은.

지금까지 4·3평화기념관을 통해 4·3사건의 진실, 그리고 화해와 상생의 정신으로 과거의 아픔을 해결하려는 제주도민의 모습을 알려왔다.

이를 위해 제주도민들부터 4·3추모 운동을 전개했으면 바란다. 도내 모든 기관·단체의 행사에서 4·3희생자 넋을 위로하는 묵념의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4·3의 미래를 향해 내부에서부터 변화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4·3의 전국화, 세계화에 나서야 할 것이다.
 
△4·3평화재단 활성화 방안은.

4·3평화재단은 아직도 자립할 수 있는 재원이나 인력확보가 이뤄지지 않은 걸음마 단계다.  이를 극복해 재단운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은 물론 제주도와 도민 각계각층의 관심과 격려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토대가 갖추어졌을 때 제주는 4·3평화재단이 바라는 평화와 인권의 메카가 될 것이며, 미래세대에게 평화교육의 산실로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