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전국적 포화 이후 올 3분기 590명까지 늘어
혁신도시 등 영향 과잉경쟁 우려도 커

기업도시·혁신도시·세종시 등 개발 호재에 지역 중개업소만 늘어났다. 한정된 지역 내에서 수요를 겨냥한 중개업 확장은 그러나 과잉경쟁에 따른 부작용은 물론 부동산 침체 여파로 인한 지역 경제 파급효과도 우려되고 있다.

4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와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 등에 따르면 MB정부 집권 기간인 2008년 1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수도권에서는 중개업자 수가 6.8% 감소한 반면 지방에서는 17.3%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제주의 경우 2008년 1분기 563명이던 중개업자가 올 3분기 590명으로 1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539명, 지난해 558명 등 2008년에 비해 오히려 줄었던 도내 중개업자는 2010년말부터 시작된 공동주택 건설 증가 추세와 함께 영어교육도시, 혁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 사업과 이도2지구·삼화지구 등 도시개발지구 사업 본격화에 힘입어 그 수가 늘기 시작했다. 지난해부터 잇따르고 있는 중국인 부동산 투자와 최근에는 제주 귀농·귀촌 분위기에 힘입어 농어촌 빈집만을 전문으로 하는 중개업자도 있는 등 세분화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중개업자 1인당 지역 내 아파트 실거래량은 7.02건으로 전국 평균 (7.06건)수준을 기록했다. 가장 많았던 전남(23.1건)과 가장 적은 서울(1.23건) 등의 사정을 감안할 때 아직 운영 여력이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이 제한돼 있는데다 '기획형 부동산'에 의한 폐해, 지역경기 침체 등의 요인을 종합할 때 향후 전망은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전국적으로 지난 2008년 부동산중개시장이 사실상 포화 상태에 도달, 정체현상을 보였던 만큼 현재 중개업자 수 증가는 과잉경쟁에 따른 경영 악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실제 올 상반기 제주시 지도 점검 과정에서만 무단이전·무단 폐업 업체만 10곳이 적발되는 등 불안을 일부 현실화했다.

한 중개업 관계자는 "퇴직 후를 위해 자격증까지 따놓고도 개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일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며 "지금 호재라고 부르는 것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