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포커스> 말많은 제주재활전문센터 운영 해법은

적자 해소 방안·차별화 전략 등 ‘밑그림’ 부재
적자의료원의 ‘적자 경영’ 진퇴양난 가능성도

제주특별자치도가 하반기를 목표로 제주재활전문센터 개원을 추진 중이나 적자 해소 방안, 차별화 전략 등 병원 운영을 위한 밑그림이 전무, 지역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공공의료' 실현을 위한 재활전문센터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적자 해소 방안 수립 등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전국 6개 권역 재활전문센터 중 가장 마지막으로 개원하게 될 제주재활전문센터는 지난해 12월 서귀포의료원이 수탁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공공성 훼손 논란은 잠재워졌으나 지자체의 지원을 받는 서귀포의료원이 적자가 불가피한 재활전문센터를 맡게 됨으로써 또 다른 논란에 불이 붙게 됐다.
 
문제는 재활전문센터를 운영하게 될 서귀포의료원 역시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면서 제주도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다보니 적자에 적자가 가중될 경우 오히려 재활전문센터 운영이 더욱 불안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온다.  개원 당시 좋은 인력을 확보하더라도 적자에 허덕일 경우 환자에 대한 서비스 질 하락은 물론 인력 유출 등 갖가지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한적십자사와 인천시가 협약을 맺어 운영 중인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역시 지난해 12억여원의 적자가 발생, 인천시로부터 지원받았다. 특히 협약 초기 각종 분쟁이 생기면서 홍역을 치렀던 경인의료재활센터 병원 관계자는 "적자 해소방안을 수립하지 않은 채 무작정 운영에 돌입할 경우 '공공의료'는 물론 적자난까지 가중됨으로써 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영남권역 재활전문센터인 경우 규모있는 부산대학교병원이 운영을 맡으면서 지자체로부터는 지원을 받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재활사업은 큰 수익이 나지 않는 분야로서, 적자 해소 방안을 생각하지 않고 시작했다가는 큰 혼란이 불가피한데다 초기 우수인력 확보와 민간병원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차별화 전략, 공공성 확보 방안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며 "타 지역 사례 등을 연구,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운영방안에 대한 검토가 시급하다"고 주문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