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 포커스 / 포화 위기 맞은 도내 매립장·소각장

1일 쓰레기 반입량 소각 능력 웃돌아
잔여 매립용량 8만890t 불과 초비상
주민 반발·내년 지방선거 '첩첩산중'
 
▲ 제주시 봉개동 제주북부광역소각장의 1일 쓰레기 반입량이 처리능력을 초과, 쓰레기가 소각장 내부에 쌓여있다. 강승남 기자
△ 북부광역소각장
 
제주시 봉개동에 소재한 북부광역소각시설. 제주시 동 지역을 비롯해 구좌읍·조천읍, 서귀포시 동부지역인 남원읍·성산읍·표선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곳이다. 사실상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태우는 쓰레기의 절반을 이곳에서 처리하는 셈이다.
 
하지만 이곳은 이미 1일 처리능력을 넘어선 쓰레기 반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용 기간 역시 기계 노후로 인해 2018년이면 만료된다.
 
북부광역소각장의 1일 처리능력은 200t이지만 발열량·강화된 환경기준 등 각종 내외부적인 요인에 따라 실제 태울 수 있는 양은 155t 안팎이다. 반면 이곳에 1일 반입되는 쓰레기량은 180t~185t에 이른다.
 
최근과 같은 여름철 관광 성수기에는 밀려드는 쓰레기로 연일 포화상태다. 하루 수만명에 달하는 관광객들이 제주를 찾는 가운데 그들이 발생시키는 쓰레기까지 더해지면서다.
 
9일 오전만 하더라도 쓰레기 수거차량들이 소각로 앞에서 한가득 쓰레기를 쏟아냈다. 하지만 이미 이날 소각로 쓰레기 적재장에는 적정선인 600t을 3분의 1가량 넘어선 800t 가량의 쓰레기가 쌓여있었다.
 
이처럼 여름 관광성수기 늘어날 대로 늘어난 쓰레기에 기계 고장까지 더해질 경우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 관계자는 "여름철 해수욕장 등 관광지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량이 만만치 않다"며 "기계 노후로 인한 잔고장이나 혹은 들어오지 말아야 할 쓰레기 등이 섞임으로 인해 기계에 문제가 생길 때면 쓰레기 반입 중단을 요청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 회천매립장
 
북부광역소각장이 쓰레기 처리에 허덕이는 가운데 바로 옆 회천매립장은 당장 내년 포화를 앞두고 있다. 
 
제주시 동 지역 등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매립하는 회천매립장은 한눈에 봐도 매립용량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수 있다. 회천매립장의 전체 매립 용량 188만t이지만 현재 잔여 용량은 고작 8만890t 이다. 5%도 채 남지 않은 셈이다.
 
당초 회천매립장은 2016년 12월까지 사용기간이었으나 폐기물 반입량 급증으로 사용기간은 단축돼왔다. 현재 남은 용량으로는 내년이면 한계치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새로운 매립지의 착공은커녕 후보지 선정조차 이뤄지지 않으면서 내년 제주시 동지역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폐기물의 처리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회천매립장 평균 폐기물 반입량은 1일 200t을 넘고 있다.
 
△ 향후 일정은
 
쓰레기 처리 대란에 대한 우려는 비단 어제 오늘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제주도의 늑장 행정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1월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달 대체후보지 4곳을 중심으로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돌입했다.
 
현재 후보지는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와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시 봉개동 등 모두 4곳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민공청회 등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차질없이 진행될 경우 내년 1월 입지선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어 기본 및 실시설계 후 2015년부터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현재 일정대로 차질없이 추진된다 하더라도 공사기간 등을 감안할 때 쓰레기 대란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제주도 등은 2016년께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주민 반대 등에 따라 사업완료 시점은 미지수다.
더욱이 제주발전연구원 연구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조성된 폐기물 매립장 15곳을 조사한 결과 평균 5년 1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2011년부터 쓰레기 매립장의 포화 문제가 제기됐던 점, 부지 선정 및 완공까지의 기간 등을 감안하면 행정의 대응이 안이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폐기물 처리시설인 경우 주민반대를 동반하는 사업인 만큼 행정이 눈치보기에 급급, 사업에 속도를 내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견마저 나오고 있다. 더욱이 내년 6월4일 지방선거 등을 감안할 경우 사업 추진은 더욱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도 관계자는 "최대한 재활용 분류를 통한 폐기물 반입량 감축, 회천매립장 재활용 등 쓰레기 대란이 없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