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 포커스 / 제주경마본부의 두 얼굴

▲ 한국마사회 제주지역본부가 지난해 매출 1조원·당기순이익 800억원을 기록했지만 확보된 기부금 편성액조차 제대로 집행하지 않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 사진은 제주경마장의 경마시행 장면을 지켜보고 있는 방문객들. 자료사진
방문객 90% 도민…절반 월소득 100만원 내외
지역기부 생색내기…독성물질 검출도 '모르쇠'
 
제주경마장은 제주 토종말인 '제주마'(조랑말·천연기념물 제347호) 보호·육성하고 제주의 축산·관광산업 진흥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기여를 취지로 1990년 개장, 1991년부터 본격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매출액 1조원·당기순이익 800억원의 경영실적에도 기부 등 지역상생은 외면하고 있다.
 
△ 관광산업 기여 미흡
 
한국마사회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제주경마장 방문객 현황은 △2010년 41만6001명 △2011년 42만8516명 △2012년 37만6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도민들이 90% 이상을 차지, 외국인·관광객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한국마사회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경마장 이용객의 절반(49%)은 월 소득수준이 '100만원대 또는 100만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들이 마권구매상한제도(최대 10만원)를 지킨다 하더라도 단 하루 만에 월 소득 전부를 날릴 수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건전 경마 시행을 통한 관광객 유치 등 제주 관광산업 진흥 기여를 위해 마사회 제주지역본부가 제주경마장을 설립했지만 결국 제주도민, 그것도 서민층의 호주머니만 노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 도민 도박중독 '남의 일'
 
이처럼 제주경마장 방문객 중 제주도민의 비중이 절대적이지만 상습 경마도박 중독 예방을 위한 마사회 제주지역본부의 대응은 소극적이다.
 
㈔제주건전경마상담센터에 따르면 습관성 도박(경마)으로 인한 상담 건수는 △2010년 155건(대면 69건·전화 86건) △2011년 212건(대면 97건·전화 115건) △2012년 245건(대면 132건·전화 113건) 등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이 가운데 개인별로 2회 이상 상담을 받은 경우는 △2010년 47건 △2011년 57건 △2012년 47건 등이다.
 
특히 개인별 10회 이상 상담을 받은 경우도 △2010년 2건 △2011년 17건 △2012년 64건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마사회 제주지역본부는 올해부터 '도박중독예방치유부담금'을 납부한다는 이유로 도박중독 예방·치료를 위해 제주경마장에 설치했던 '유캔센터'운영을 지난 3월부터 돌연 중단했다. 대신 경마 시행일에 인력 일부를 지원하는 것으로 도박중독 예방활동을 축소했다.
 
△ 확보된 예산도 집행 안해
 
제주경마장의 매출규모는 1조원에 육박하지만, 지역 기부는 생색내기조차 민망한 수준이다.
 
한국마사회가 분석한 경마공원별 손익계산서에 따르면 제주경마장의 매출액·당기 순이익은 2010년 9093억7500만원(723억4500만원) △2011년 9685억6600만원(760억2300만원) △2012년 1조324억7900만원(812억7100만원)이며 올해에도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제주경마장의 기부금 집행액은 △2010년 5억원 △2011년 4억원 △2013년(8월말 현재) 1억원 등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고 확보된 편성액(5억7000만원) 조차 집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기부금 집행액은 44억6000만원에 그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외면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주경마장 내 모래에서 독성물질인 '6가크롬(Cr6+)' 검출됐지만 별다른 조사 의뢰 외에는 구체적인 후속조치를 제시하지 않아 도민 안전에 무관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제주의 소중한 자원인 지하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소금을 최근 5년간 575t을 살포하고도 영향조사 등은 실시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때문에 제주경마공원이 기록한 막대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도민 호주머니에서 나온 것임을 감안,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마사회 제주지역본부의 인식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강승남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