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 포커스 / 제주영상위 출범 10년 명·암

▲ 제주영상위원회가 출범 10년차를 맞았지만 매년 예산 부족·인프라 시설 미흡 등으로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영화 '건축학 개론' 제주 로케이션 모습.
로케이션 유치·미디어 교육·무료영화 상영 전부
'제주형 영상산업' 활성화 시급…행정지원 필수
 
21세기 고부가가치 콘텐츠 개발을 통한 파급효과로 '영상산업'이 급부상했다. 이에 각 지자체는 영상산업에 뛰어들었고, 제주 역시 전주·부산·서울에 이어 전국 지자체 중 4번째로 제주영상위원회를 출범시키며 본격적으로 영상산업 육성에 나섰다. 하지만 영상위는 매년 예산·인력 부족과 인프라 시설 미흡 등으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출범 10년 차를 맞았지만,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채 겉돌고 있는 실정이다.
 
△ 구심체 역할 수행 출범
 
제주도는 천혜 자연경관과 관광산업의 활성화, 풍부한 문화자원 보유 등의 장점을 부각시키며 영상산업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지난 2003년 12월26일 지역 영상산업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할 목적으로 제주영상위원회가 출범했다.
 
당시 제주 로케이션 유치·지원 등에 나섰던 영상위는 지난 2006년 제주영상미디어센터에 이어 지난 2010년 제주영화문화예술센터까지 제주도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면서 도 영상사업 전반을 맡아 수행하게 됐다.
 
영화·드라마 등의 야외 촬영을 제주에서 하도록 하는 영상물 로케이션 유치는 선전했다는 평가다.
 
영상위에 따르면 지난 2004년 16편·2005년 15편에 그치던 것은 적극적인 유치 전략에 힘입어 2011년 27편·2012년 42편·2013년 45편에 이르렀다. 2011년의 경우 15억8458만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9명의 취업유발효과를 냈으며, 2012년에도 19억4306만원의 생산유발효과와 함께 31명의 취업유발효과를 발생시켰다. 뿐만 아니라 영상위 로케이션 지원을 받은 드라마와 영화가 상영되면서 자연스레 지역 홍보 효과까지 낼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제주영상미디어센터를 통해 청소년은 물론 일반 도민들에게 영상촬영 및 교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옛 코리아 극장을 리모델링한 제주영화문화예술센터에서 무료 영화상영회를 진행하면서 구도심 활성화를 엿보기도 했다.
 
△ '제주형 영상산업' 시급
 
하지만 영상위의 지난 10년간 성과는 이게 전부다. 예산 부족과 독자적인 권한이 부여되지 않으면서 신규 사업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부산영상위원회의 경우 부산시장이 위원장을 맡으면서도 별도 운영위원장을 두고 있다. 시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만큼 행정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얻을 수 있는데다 실질적인 운영은 영화계 출신 전문 인력이 이끌면서 안정적인 재정 기반, 전문성을 고루 갖추게 됐다. 또 시·군·대학·기관·업체 등과 상호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가 하면, 영화·영상 공공기관 등이 잇따라 부산으로 이주하면서 영상클러스터를 조성, '영상도시 부산'으로 자리매김 했다. 특히 부산영상위는 부산시가 30억원을 출자하는 등 총 50억원의 규모로 출범한 '부산영화투자조합 1호'를 운영, 부산 촬영분이 70%가 넘는 작품에 한해 투자를 시도하면서 한국영화의 부산현지 제작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했다.
 
제주지역 내 영상산업 기반 부족은 둘째 치더라도 제주영상위 역시 도지사가 위원장을 겸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위상은 아쉬울 수밖에 없다.
 
이 밖에 전주영상위가 영화종합촬영소와 오픈 스튜디오 조성을 통해 전략적인 로케이션 유치에 나서고 있고, 서울영상위는 '한류' 영향으로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찾기 위한 미국과 유럽 영상관계자들과 물꼬를 틀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각 지자체마다 지역 실정에 맞는 새로운 돌파구로 영상산업의 도약을 꿈꾸고 있는 가운데, 제주 역시 '제주형 영상산업' 정립이 시급히 요구되는 부분이다.
 
지난해 영화 '지슬'의 선전 이후 제주형 영상산업 활성화 등에 대한 요구가 잇따르고 있지만 관련 후속조치는 전무한 상태인데다 민선5기 도정이 공약으로 내세웠던 바다스튜디오 건립 등이 별도 방안 마련 없이 무산되는 등 영상산업에 대한 행정의 의지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제주 영상산업의 재도약을 위해서 영상위 역할 재정립 등 조직 전반의 재정비와 행정은 물론 관련 기관·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고혜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