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생각 더 큰 제주 제주경제 틀 다시 짜자] 3> 제주 콜라보레이션 집중

건설업 등 과잉경쟁·시장위축 고전 악순환
산업·주체별 공동작업 통한 역량강화 주문
 
건설업의 지역 GRDP 비중은 9.2%로 서비스업(67.2%)·농림어업(17.4%)에 이어 세 번째다. 건설업 취업자는 도내 전체 취업자의 8.6%를 차지한다. 고용유발계수(16.83명)나 생산유발계수(2.10)가 전 산업 평균(15.55명, 2.07)을 앞지르는 등 파급효과 면에서는 1·3차 산업을 앞선다.
 
지난 40여년간 제주 경제 발전의 근간 및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지역 건설업계가 자성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정부의 사회간접사업 투자가 계속해 줄어들고 재정악화로 지자체와 공기업의 투자 확대가 어려워지면서 환경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공공부문 건설 수주 실적이 전년대비 34%나 늘어난 것을 제외하면 민간부문 위축으로 인한 파장이 컸다. 전년 대비 누계 실적(계속공사 제외)이 2.0% 증가했지만 지난해만 건설업 종사자가 전년대비 8.8%나 감소했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건설업계의 첫 번째 선택은 '부실업체 퇴출'이다. 전국 평균 건설업체 비율이 인구 1000명 당 1개 업체인데 반해 제주는 500명당 1개 업체 꼴로 업체 수 과다에 따른 경쟁 심화로 인한 부작용이 큰 편이다. 건설기능인력 고령화(40대 이상 80%) 문제 해결과 더불어 친환경과 안전·복지(이동권 확보), 전문화 등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새로운 건설 수요를 발굴하는 것으로 지역 중추 산업군의 책임을 다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제주경제 허약체질 개선은 물론이고 '융·복합'을 키워드로 한 산업군 양성과도 맥을 같이한다. 지역성을 반영한 경쟁력있는 산업을 발굴하고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외에 지역 업체의 역량을 키우는 것 역시 '도민소득 3만 달러 시대' 견인과 유지를 위한 선결과제이기 때문이다.
 
경제와 일자리 선순환 구조의 정착 역시 지역 경제 규모를 키우는 것만큼 중요하다. 투자→고용→소득→소비→시장확대→재투자의 구조는 규제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지역 경쟁력이 먼저 갖춰질 때 완성된다.
 
현승탁 제주상공회의소 회장은 "모든 경제 주체나 산업별로 자기 목소리만 내는 것이 아니라 '공동작업(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융·복합 같은 성장 키워드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행정과 민간, 기업가와 근로자, 생산자와 소비자가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협력할 때 현실이 된다"고 강조했다. 고 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