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에게 현안을 듣는다] 오충진 의원

FTA피해 최소화·해군기지 문제 해결 절실
집행부 견제 위한 도의회 기능 강화 필요 
 
오충진 의원(민주당, 서홍·대륜동)
 
오충진 의원은 지난 2002년 서귀포시의원을 시작으로 2006년과 2010년 도의원으로 재선에 성공해 12년에 이르는 의원 경력을 갖고 있는 '베테랑' 의원이다. 지난 2012년에는 문대림 전 도의장의 총선 출마로 오 의원은 짧지만 '6개월'간 도의회의 수장직을 맡아 해군기지 문제와 한·미, 한·중 FTA에 따른 1차 산업의 위기, 산업 전반에 걸친 무한경쟁으로 인한 지역경제의 침체, 신공항 건설 등 지역의 당면 지역현안 해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평소에는 온화한 성품이지만, 의정활동과 관련해서는 정확한 판단과 결단을 내리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주지역 현안과 해결을 위한 의정활동은.
 
현실로 다가온 FTA로 인한 1차 산업의 피해는 상상을 초월할 것임에 따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도의회 차원의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 왔다.
 
해군기지 문제도 적법절차의 원칙과 주민동의의 원칙, 유사 국책사업과의 형평성 등의 원칙과 소신을 가지고 대처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꾸준히 제기됐던 기초자치단체 부활에 따른 다양한 논의의 물꼬를 트는 등 지방자치 역량 강화에 힘써 왔다.
 
이와 함께 동료 도의원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산남북균형발전T/F팀을 만들어 현황분석, 문제점, 대책 등을 논의하고 정책이 도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 결과 산남북균형발전 조례안을 만들어 내는데 힘을 보탰다.
 
또 학교폭력 사태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심각한 수준에 처해 있고, 영화 도가니가 말해 주듯이 장애학생들의 인권 문제도 방관할 수 없음에 따라 도내 청소년들이 방황하지 않고 제 길을 갈 수 있는 정책과 대안을 마련하는 등 종합적인 개선노력에 주력했다.
 
여기에 무상급식 전면실시와 주 5일제 수업 등 새로운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한 교육당국과 도, 도의회, 그리고 도민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교육환경이 미래의 주역들을 올바로 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세계자연보전총회를 성공적 개최를 통한 세계 환경수도로의 도약, 유네스코 자연과학분야 3관왕을 연계한 시너지 효과창출, 관광객 1000만명 시대 및 외국인 관광객 200만 명 시대 개막에 힘과 지혜를 모아왔다.
 
△지역현안 해결 등 주요 의정활동의 성과는.
 
지역구의 가장 큰 과제는 혁신도시가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권이 바뀌면서 일부 기관이 다른 도시로 가거나 중앙에 존치되고, 나아가 서귀포혁신도시로의 이전을 꺼리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해결하는데 노력했다.
 
또 서홍동에는 기초생활기반, 교육, 문화, 복지시설 등 기초 서비스 기능 향상을 위해 2014년부터 4년간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귀북초등학교 주변지역 및 흙담솔 정비사업, 스토리가 있는 서홍8경 올레공간 조성사업, 서홍 주산지도로(솜반천 진입도로) 정비사업, 서홍 주산지도로 정비 등 기반시설 확충사업 등이 추진되도록 했다.
 
시오름 일대 174㏊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50억원이 투입되는 치유의 숲 조성사업이 추진되도록 노력한 결과 힐링센터 진입로와 주차장, 치유 숲길 등이 시설되고 있다.
 
그리고 제주 월드컵경기장 부지 내에 연면적 2329.73㎡, 지상 2층 규모로 국비(기금) 27억2000만원을 포함 총 39억20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서귀포생활체육문화센터가 조성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혁신도시로 전입하는 학생을 위해 학교 시설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했고, 각종 도로망 확충사업도 활발히 추진했다.
 
△제9대 도의회 임기 중 마무리하고 싶은 의정과제는.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60년, 그리고 30년간 중단됐던 지방자치가 부활된 지 20년이 넘었다. 이제는 지방자치가 국가발전의 전략이 되고 세계로 나아가는 발판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인 뒷받침이 중요하다. 지난해와 올해 안전행정부가 대통령 업무보고 당시 인사권 독립이라든가 보좌관제 도입 등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말뿐인 상황이다.
 
제주지역인 경우 제왕적인 특별자치도지사의 권한을 견제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하루 빨리 이런 현안들이 해결되어 지방의회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 김영헌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