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 '뱃길' 200만 시대' 여객선 안전 이상없나

선박 노후화…화물차 기사 등 파악 불가능
7개 선사 중 제주본사 1곳 관라·통제 허술
 
연안여객선을 이용해 제주도를 방문한 도민·관광객이 220만명을 돌파하는 등 항공편에 이어 제2의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제주뱃길이 외향적인 성장을 거뒀지만 선박 노후화와 승객·화물 및 안전관리 허술 등으로 제주뱃길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안전성 확보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승선원 관리 20년전 그대로
 
.제주해양관리단에 따르면 제주와 타지역을 연결하는 연안여객선 이용객은 2007년 119만8986명에서 2012년 210만2119명, 지난해 223만1462명으로 7년사이 86.1% 증가했다.
 
이처럼 제주기점 연안여객선 이용객수는 급증했지만 승선원 관리제도는 20년째 제자리다. 현 승선원 관리제도가 1995년 시행된 후 신분증 제시절차가 없어졌고 대신 승선권에 인적사항을 적은 후 3개월간 선사측이 보관토록 하고 있다.
 
인적사항 기재양식도 선사마다 제각각인데다 대부분이 성명과 생년월일, 연락처만 기재토록 하고 있다.
 
더구나 화물차 기사와 무료 탑승객 대부분은 인적사항을 아예 기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화물 과적 통제 못해
 
세월호 침몰사고로 여객선의 화물과적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문제는 제주-인천 항로를 비롯해 제주의 모든 항로의 연안여객선에서 화물과적이 관행처럼 이뤄지고 있고, 이를 막을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도내 화물업계에서는 상당수의 화물차량이 적재허용량의 2~3배를 싣고 여객선을 이용해 다른 지역으로 운송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선박의 화물선적량을 확인할 때는 차량무게가 아닌 대수로 파악되기 때문에 허용된 차량수를 배에 실어도 과적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
 
화물차량에 대한 중량검사나 과적검사는 항만과 선사에서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해양관리단 등은 단속권한도 없다.
 
△승무원 교육 선박안전성도 허술
 
제주-인천을 항해사는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선원의 안전교육연수비로 54만1000원을 지출하는데 그쳤고, 제주-목포를 운항하는 씨월드고속훼리 역시 교육훈련비로 159만원만 사용하는 등 위기상황시 승무원들이 제대로 대처할 능력이 있는지 의문이다.
 
제주기점 연안여객선은 8개 항로에 15척 가운데 선령이 20년이 넘은 노후선박은 10척으로 66%이며, 평균 선령은 21년7개월이다. 여객선 고장으로 표류하는 등의 해상사고가 매해 1~2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제주기점 연안여객선을 운항하는 7개 선사 가운데 본사가 제주인 업체는 1곳에 불과해 도내 해양기관들이 선사를 제대로 관리·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